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구릅/일상들 ( life )

② 춘천 소양호, 청평사- ( 2024.11.16 )

by the road of Wind. 2024. 11. 27.

 춘천 소양호, 청평사

- ( 2024.11.16 )

 

- 《  오봉산 오봉사  》 -

 

이런 갚숙한 강원도 오지에 어떤 바다(?)가 있다니 놀랍기도 하다. 작은 여객선이 물살을 가르고, 선착장에서 손님을 기다리고, 가을 단풍이 산 기슭을 장식하는 계절에서 나는 내면에서 약간의 쓸쓸함과 외로움을 느끼게 된다. 기쁨과 슬픔이 교차하는 이 이상야릇한 감정은 어디에서 솟아 오르는가? 나의 심연의 슬픈 샘에 떠있는 감상이 나의 몸을 단풍처럼 물들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두손 잡고 다정히 가는 산책하는 여성들을 보면 내 집사람이 생각나 마음이 아프다. 몸이 활발하면 같이 다닐 텐데 그러질 못하니 마음 아프다. 다정한 연인들이 걸어가는 모습을 보면 나의 솔로 아들이 애처러워 보인다. 잔 구름이 떠 있는 푸른 하늘을 올려보면 평생을 고생만 하시다 저 세상으로 가신 울엄마 생각에 마음이 찡해 온다. 뒤돌아 보니 어머님도 보이지 않고 세월은 흘러버리고, 하지 못한 불효가 나에게 눈물 값을 내놓으라 하는 것 같다.    

 

 

오봉사 선착장

 

청평사 먹거리 안내도

 

찾아오시는 길:


자가용 춘천IC- 인제,양구방향 - 양구행 46번 국도 - 배후령터널 - 간척사거리 (오음리 입구) -  배치고개 - 청평사관광지주차장(안내소)
전철: 상봉역- 춘천역
itx 청춘: 청량리 or 용산역 - 춘천역
시외버스터미널:  동서울시외버스터미널 - 춘천시외버스터미널


- 시내버스:


노선번호: 북산2
1) 운행시간기점발 - 1회차 8:20, 2회차 17:25 / 종점발 - 1회차 9:55, 2회차 18:20
2) 운행시기: 하절기 3월 ~ 10월
3) 운행노선; 
   - 1회차 오항리종점까지 운행 
   - 중앙시장환승센터 - 청평사종점- 오항리종점- 중앙시장횐승센터
   - 1회차 종점발: 오항리종점 출발기준 

노선번호 11:
1) 운행시간: - 기점발- 5;20, 18:30/  - 종점발: 7:10, 19:10
2) 운행노선후평동종점 - 남춘역환승센터- 소양강댐

노선번호 12:
1) 운행시간: - 기점발: 5;20, 18:30/ 종점발: 6:00, 19:25
2) 운행노선: 장학해온채A - 춘천역환승센터- 소양강댐

선박:
요금: 소양댐 - 청평사 배 왕복 요금: 어른 10,000원, 어린이 6,000원

 

  상가/숙박 정보:

1. 하늘소 033-244-3493 (민박)
2. 송학가든 033-243-1561 (민박/향토음식점)
3. 호수식당 033-243-3452 (더덕백반전문)
4. 청평산장 033-244-0580 (민박/향토.토속음식점)
5. 소양강산장 033-244-5457
6. 부용가든 033-244-5662 (향토.토속음식점)
7. 오봉산장 033-244-6606,  (민박/토속음식점)
8.. 춘하추동 010-5895-2783 (산채비빔밥/파전)
9. 고려산장 010-9790-0412 (더덕백반/산채비빔밥)
10. 부영식당 010-7234-3028  (더덕백반/돼지감자파전)
11. 우리집 010-7466-3613 (더덕백반/돼지감자파전)
12. 기념품가게 010-9865-2544 (기념품/잡화)
13. 숲커피 010-3106-1541 (커피전문점)
14. 매점(매표소) 033-242-2455 

 

청평사 관광지 안내도

 

주차장 이용 안내:
당일:  대형 4,000원, 일반 2,000원, 저공해/경차 1,000원

* 대형-  36인 이상 승합차, 적재정량 5T 이상 화물차, 소형-  대형차를 제외한 모든 승용차
* 감면: 국가유공자, 장애인, 

청평사 국민여가 캠핑장 ( 월,화요일 휴장)

일반: 
비수기 주중/주말 10,000원, 준성수기: 일~목요일 15,000원, 주말 25,000원, 성수기: 일~목요일 25,000원 주말 35,000원
오토비수기 주중/주말 10,000원, 준성수기: 일~목요일 20,000원, 주말 30,000원, 성수기: 일~목요일 30,000원 주말 40,000원

- 환불규정:
비수기:

주중(일~목),  2일전 수수료 없음, 1일전 10%, 당일 및 불참시 20% / 
주말(금~토),  2일전 수수료 없음, 1일전 20%, 당일 및 불참시 30%

성수기

주중(일~목),  10일전 수수료 없음, 7~9일전 10%,  5~6일전 30%,  3~4일전 50%, 1~2일전 및 당일 80%,
주말(금~토),  10일전 수수료 없음, 7~9일전 20%,  5~6일전 40%,  3~4일전 60%, 1~2일전 및 당일 90%,

** 이용문의 033-240-1626

춘천도시공사


청평리

 

숲커피

 

더덕백반 2인분 30,000, 닭갈비 2인분 30,000, 산채비빔밥 12,000, 쟁반막국수2인분 19,000, 춘천막국수 8,000, 볶음밥 2,000, 토종닭도리탕 60,000, 토종닭백숙 60,000, 매운탕 잡고기 중 40,000, 대 50,000, 더덕구이 22,000, 모듬전(메밀.도토리.감자) 16,000, 해물파전 20,000, 감자전 12,000, 도토리묵 10,000, 메밀전병 10,000, 계절메뉴; 잉어회 20,000, 빙어튀김 15,000, 빙어무침 25,000 등

청평사 슈퍼

청평산장 033-244-0580, 매운탕, 오리백숙,닭백숙,더덕구이,닭갈비,막국수. 비빔밥

출렁다리

 

오봉산장

 

공주설화


청평사에는 당나라 공주와 관련한 설화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중국 당나라 태종의 딸 평양공주를 사랑한 청년이 있었다. 태종이 청년을 죽이자 청년을 상사뱀으로 환생하여 공주의 몸에 붙어서 살았다. 당나라 궁궐에서는 상사뱀을 떼어 내려고 여러 치료 방법을 찾아보았지만 효험이 없었다. 공주는 궁궐을 나와서 방랑을 하다가 한국의 청평사에 이르게 되었다. 공주굴에서 하룻밤을 자고 공주탕에서 몸을 깨끗이 씻은 공주는  스님의 옷인 가사(伽裟)를 만들어 올렸다. 그 공덕으로 상사뱀은 공주와 인연을 끊고 해탈하였다. 이에 공주는 당나라 황제에게 이 사실을 알려서 청평사를 고쳐 짓고 탑을 건립하였다고 한다. 이 때 세운 탑을 공주탑이라고 하고, 공주가 목욕한 곳을 공주탕이라고 하며 상사뱀이 윤회를 벗어난 곳을 회전문이라 부르게 되었다.     

 

상사뱀과 평양공주 상.....뱀을 매우 싫어하는 나는 이 조걱이 징그럽게 느껴진다. 그런데 어떤 부모인지 어린 아이를 뱀 앞 공주 무릅에 올려놓은 광경을 보고 놀랐다. 어린이도 많이 긴장했을 것이다. 부모 등은 어린이들을 안전하고도 편안하게 해 주어야 할 것이다. 아이 중심으로 생각하면 될 일이다. 

 

 

거북바위


거북바위는 자연암석으로 예전부터 거북이가 물을 바라보면 청평사가 크게 융성할 것이라는 전설을 가지고 잇었다. 바위에 신규선이란 이름이 새겨져 있는데, 1915년 청평사를 정비하고 청평사의 역사적인 청평사지(淸平寺誌)를 편찬토록 한 사람이다.

 

구송폭포 &  춘천 청평사 고려선원

 

구송폭포:

구송폭포는 주변에 소나무가 아홉 그루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폭포 위쪽에 사람이 쉴 수 있는 구송대(九松臺)가 있다. 구송폭포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아홉가지 폭포소리를 낸다고 하여 구성폭포(九聲暴布)라고도 한다.  이 폭포에서는 일년 내내 많은 양의 물이 쏟아져 내린다. 특히 폭포의 양쪽에 수직으로 펼쳐진 절벽은 단정한 선비처럼 아름답다. 구송폭포는 춘천 서면 삼악산의 등선폭포, 남산면 문배마을의 구곡폭포와 함께 춘천의 3대 폭포로 꼽힌다. 

 

춘천 청평사 고려선원:  명승 제70호:

청평사는 973년(고려 광종 24)에 백암선원으로 창건되어 1,000년 이상을 이어 온 선원이다. 고려시대에는 이저현, 원진국사 숭형, 문하시중 이암, 나옹선사 등이, 조선 시대에는 김시습, 보우, 환적당, 환성당 등이 이곳에 머물렀다. 고려선원에 머문 당대의 최고 고승과 학자들은 학문과 사상을 전파하였고 뛰어난 문인들은 시문(詩文)으로 이 곳의 자연과 문화를 노래했다.

청평사는 아름다운 자연환경에 시문과 설화가 어우러진 곳이다. 고려시대 이자현은 37년간 청평사에 머물면서 청평사 주변 계곡에 암자와 정자, 연못 등을 조성하였는데 이렇게 조성된 고려선원은 자연과 인문학적 의미가 매우 크다. 구승폭포를 비롯한 많은 폭포들이 계곡을 수놓고 있으며, 자연 그대로 보존된 선동(仙洞)과 서천 계곡 이들을 에워싼 부용봉이 바위들이 청평사 주변을 장식하고 있다. 또한 고려초기에 건립된 삼층석탑, 이자현이 조성한 영지, 한국 서예사에 빛나는 문수기원비와 시장경비, 사찰 주변의 노란 매화 군락지, 조선시대 스님들의 사리를 안치한 부도, 비를 기원하던 기우단 터, 하늘에 제사 지내던 천단과 제석단 터, 공주설화 유래가 전해지는 회전문 등은 고려선원의 풍부한 인문자원이다.  
  

 

구송폭포

 

-> 구송폭포, -> 공주굴 20m,  ↑ 청평사 430m. 

 

 

청평사 고려선원

↖ 진락공 이자현 부도,  영지 명문 바위,  영지, -> 삼층석탑 

 

세향원 터(細香院址):  세향원은 서향원(瑞香院)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조선 후기의무신이었던 엄황(嚴愰, 1589-1653)이 편찬한 <춘천지(春川誌)>에는 "서향원의 옛터는 영지의 서쪽 골짜기에 있는데 김시습이 살던 곳"이라고 적고 있다.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이 청평사에 운둔하며 이곳에서 세향원을 짓고 살았던 것이다.

 

세향다원...연꿀빵, coffee

 

진락공 이자현 부도 (眞樂公 李資玄 浮屠)

 

이자현(李資玄)(1061~1125): 고려의 학자로, 호는 식암(息庵), 청평거사(淸平居士)이다. 고려 문종 때의 권세가 문하시중 이자연(李子淵)의 손자다. 또한 인예왕후, 인경현비, 인절현비의 조카이다.1089년 (선종 6) 과거에 급제하여 대악서승(大樂署丞)이 되었으나 관직을 버리고 춘천의 청평산(淸平山)에 들어가 아버지가 세웠던 보현원을 문수원이라 개칭하고 중수하였으며, 이곳에서 나물밥과 베옷으로 생활하며 수도하였다. 이자현은  문벌과 배경이 있었으나, 관직에는 욕심이 없었으며, 문수원에 들어가 평생을 수도생활로 일관하였으며, 사후 이자현에게 진락(眞樂)의 시호가 내려졌다.

 

문화관광 해설사의 집

 

영지 명문 (影池 銘文) 바위: 이 바위의 윗면에 한문으로 지은 시가 새겨져 있다. 이 시는 스님이 깨우침을 얻고 나서 지은 시라는 뜻의 오도송(悟道頌)이라고 알려져 있다.


심생종종생 心生種種生 : 마음이 일어나면 모든 것이 생겨나고
심멸종종멸 心滅種種滅 : 마음이 사라지면 모든 것이 사라지네.
여시구멸이 如是俱滅已 : 이와 같이 모든 것들이 사라지고 나면
처처안락국 處處安樂國 : 곳곳이 모두 극락세계로구나.

 

영지(影池):   

이 연못은 고려시대 이자현이 조성한 것으로 조선 초기 김시습의 한시에도 언급되어 있다. 영지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연못으로, 부용봉에 있던 견성암이 연못에 비친다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지금도 연못 물결이 일지 않으면 부용봉이 물속에 그림자처럼 비치는 모습을 볼 수 잇디. 예전엔 장마가 지거나 가뭄이 들어도 물이 줄지 않았다고 한다.  
 

청평사 입구

 

<- 요사채, -> 극락전, 대웅전, 회전문

청평사지 종합안내  

1. 회전문, 3. 관음전, 5. 대웅전, 7. 극락보전, 9. 판매점, 
2. 강선루, 4. 나한전, 6. 삼성각, 8. 범종각, 10. 요사채   

청평사지 (강원도 기념물 제55호)

고려 광종 24년(973)에 당나라 승려인 영현선사(永玄禪師)가 이곳에 절을 세우고 백암선원이라 하였다. 이곳은 얼마뒤 문을 닫았는데 문종 22년(1068)에 이 지역에서 벼슬을 살던 이의가 절을 고치고 새로 열면서 이름을 보현원이라 바꾸었다. 선종 6년(1089)에는 이의의 아들인 이자현이 벼슬을 버리고 이곳에 은거하면서 많은 건물을 새로 짓고 이름을 문수원이라고 하였다. 이후 조선 명종 때 승려 보우선사(普雨禪師) 가 절을 고쳐 지으면서 이름을 청평사로 바꾼 것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청평사에는 국보로 지정되었던 극락전 건물과 고려 최고의 명필가인 탄연이 쓴 문수원기비가 전해 냐려왔는데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소실되었다. 이들은 1975년과 2008년에 각각 복원되었다. 그 밖에도 회전문(보물 제164호), 청평사 삼층석탑(강원도 문화재자료 제8호), 진락공부도, 환숙당 부도 등 귀한 유물이 많이 남아있다. 또 절 주변의 자연 자형을 이용한 고려시대 정원 양식을 보여준다. 직사각형 연못인 영지, 기암괴석, 폭포, 등이 어우러진 뛰어난 경치에 이끌려 이제현, 김시습, 이황 등 많은 문인이 찾아 머무르거나 글을 남기기도 하였다. 
   
  

오봉산 아래 청평사...중앙에 청평사 회전문, 그 뒤의 경운루

 

○ 오봉산(五峰山):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과 화천군 간동면에 걸쳐 있으며, 높이 779m, 5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산이다. 그 다섯 봉우리는 소양강댐 건너 청평사 뒤에 솟은 비로봉, 보현봉, 문수봉, 관음봉, 나한봉의 다섯 봉우리를 말한다. 오봉산은 옛날엔 경수산, 청평산이라고 불리었다. 각 봉우리에는 표지석이 없고, 능선 산행시에는 7~8개의 봉우리가 있어 착각하기 싑다.. 각 봉우리는 암봉으로 등산의 재미가 있으며 경치도 좋고, 능선 좌우의 전망 또한 탁월하다. 등산로는 잘 정비되어 있으나, 3봉(문수봉)과 4봉(보현봉)의 암릉에는 쇠줄이 걸려있고, 절벽 같은 낭떠러지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청평사(淸平寺):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청평리 674 에 소재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다. 명산 오봉산(779m) 기슭에 자리한 청평사는 고려 광종 24년 (973년) 에 창건되었으며 조선 명종때 보우선사가 중건하여 대사찰이 되었다. 청평사는 한국전쟁 때 거의 소실된 것을 1970년대에 전각들을 짓고 회전문을 보수하고 범종각과 요사채를 다시 건립하였다. 청평사는 소양댐의 인기에 더욱  유명해진 사찰이 되었으며, 소양댐에서 유람선을타고 20분 정도 호수를 건너야 쉽게 갈 수 있는 절이다. 물론 차량으로도 갈 수는 있다. 청평사 배후에 있는 오봉산은 스릴있는 암릉길이 있고 등산후 펼쳐지는 소양호 경치 때문에 등산인들에 인기있는 산이다. 청평사의 가람으로는 대웅전, 극락보전, 삼성각, 회전문(廻轉門), 세향원, 경운루, 요사채 등이 있으며 주요 문화재로는 삼층석탑(공주탑) (강원도문화재자료 제8호)을 비롯하여 진락공부도, 환적당부도 및 고려정원이 있다. ( 청평사: 033-244-1095 )

 

眞樂公 重修 淸平寺 文殊記 (진락공 중수 청평사 문수기) 비석...

 

춘천 청평사 회전문  

춘천 청평사 회전문은 조선 명종 5년(1550)에 보우대사가 청평사를 고쳐지을 때 세워졌다고 전해진다. 회전문은 중생들이 윤회전생* 을 깨우치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그 이름은 불교경전을 두었던 윤장대를 돌린다는 의미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청평사 회전문은 잘 다듬어진 돌로 쌓은 축대 위에 기둥과 도리 등 여러 부재를 정교하게 짜맞춘 건축물이다. 문을 닫았던 흔적이 있으며 문 안쪽에는 수호의 의미가 있는 사천왕상이나 금강역사상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시대 세워진 문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문의 좌우에 긴 회랑을 지은 점이 특징적이다. 규모는 작지만 짜임새 있는 단아한 건축물로 평가된다.

* 윤회전생 輪廻轉生: 모든 생명은 그 업에 따라 세상에 생사를 거듭한다는 불교사상.
* 윤장대 輪藏臺: 불교 경전을 보관하는 회전식 책장으로 한번 돌리면 경전 한번을 읽은 것 과 같 같다고 함.

 

 

경운루

 

범종각

 

진락공 이자현 초상화 , 허응당 보우대사 초상화

 

매월당 김시습 초상화

 

대웅전

 

관음전

극락보전, 삼성각

 

보호수: 주목, 수령 830년 (지정일 1982.11.13), 수고 12m, 나무둘레 215cm.

오봉산 정상 가는 길

오봉산 숲길


주봉을 중심으로 다섯 봉우리가 어울려 바위성 모양의 아기자기한 절경을 연출한다. 정상에서 청평사 방면으로 뻗어내린 암릉이 특히 빼어난 경관을 지녔는데, 구멍바위와 암릉을 따라 소양호를 바라보며 내려가는 길이 오봉 산행의 백미라 할 수 있다. 배후령 - 오봉산 정상 - 청평사 경로가 보편적 산행 경로이며, 배치고개 - 오봉산 정상 - 청평사 경로 또한 단기 산행 경로롤 유명하다. 

배후령 - 0.3km - 1봉 - 2봉 - 1.6km - 3봉 -  4봉 - 암릉지역 - 오봉산 정상 (779m) - 0.3km - 구멍(홈통)바위 -
(1) - 0.3km - 암릉지역 - 0.8km - 청평사.
(2) - 1.4km - 청평사.

* 배치고개 - 오봉산 정상: 0.8km

 

보호수: 은행나무, 수령 250년 (지정일 1982.11.13), 수고 17m, 나무둘레 2.9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