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뜰 수변공원, 미사리 조정경기장
- ( 2025.03.27 )
하남 당정뜰 수변공원을 걸어보고, 미사리 조정경기장을 거쳐 집에 돌아왔습니다. 당정뜰 수변공원에는 메타세콰이어 숲길이 있는 곳입니다. 그런데 집에서 출발할 때와는 아주 딴판으로 미세먼지가 아주 심했습니다. 주변이 어둑한 것 같았습니다. 미세먼지 경보가 있을 때는 꼼짝하지 않고 집에 있는 것이 상책임을 깨달았습니다.
▶ 산 책 : 걸음수 8,108 steps, 거리 5.37 km, 소모열량 277 kcal, 소요시간 01:18 hrs, 속도 4.1 km/h.
▶ 코 스 : 5선 하남검단산역 - 산곡2교 - 산곡천 - 조류전망대 - 당정뜰 수변 산책로 - 메타세콰이어 숲길- 덕풍천교(덕풍천) - 당정뜰 꽃방뚝길 - 미사리 조정경기장 - 하남시 나룰도서관 - 3호근린공원 - 하남풍산역.
하남검단산역.....
검단산 등산로 안내
* 산곡초교 등산로: 산곡초등학교- 통일기원탑- 곰터약수터- 정상 ( 3.1km, 1:50분 )
* 현충탑등산로: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현충탑- 곱돌약수터- 정상 ( 4.2km, 2시간 )
* 유길준 묘 등산로: 베트남참전기념탑-유길준묘- 전망바위- 정상 ( 3.5km, 1:50분 )
* 아랫배알미 등산로: 아랫배알미- 감시초소- 정상 ( 2.9km, 1:40분 )
* 윗배알미 등산로: 윗배알미- 감시초소- 송전탑- 삼거리- 정상 ( 4.7km, 2:10분 )
산곡2교
산곡천
하남시 산곡천은 남한산 줄기의 상산곡동에서 발원하여 경기 남종면 삼성리 용마산(596m) 계류가 모여 흐르다, 하산곡동에서 하남의 검단산(657m)과 두리봉 사이 계류를 합치고 천현동으로 흘러 창우동에서 한강 본류와 합쳐지는 약 8Km의 유로(流路) 연장을 지닌 소규모 도시하천 이다. 개천 물의 흐름은 남한산 능선이 흘러내리는 은고개를 중심으로 하남 방향은 산곡천으로 흘러 한강에 유입되고, 은고에서 광주 방향으로는 번천으로 갈라져 흘러 경안천에 유입되고 결국 팔당호수에 합수되는 형태이다.
산곡1.3.4교
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탐방로, 하남위례길
* 위례 사랑길 (5.0KM): 산곡천- 닭바위 - 연리목- 도미나루- 두껍바위 - 팔당댐.
* 위례 강변길( 13.5 KM) : 산곡천- 덕풍천- 미사리경정공원- 나무고아원- 선동축구장- 서울.
* 위례 역사길 (5.8km): 광주향교- 이성산성 - 춘궁동 동사지- 선법사.
* 위례 둘레길 (39.7km); 시청- 샘재- 객산- 남한산성(벌봉) - 금암산- 이성산성 - 덕풍골.
팔당대교....곁의 신팔당대교도 상판 건설이 많이 진척되어 있다. 한강 다리 하나가 더 생겨나면 이 지역 교통 흐름이 좋아질 것이다.
철새 도래지에는 겨울 철새들이 떠나가고 없다. 봄이 찾아오니 철새들이 먼저 알고 캄챠카 등으로 떠나간 것이다.
산곡천 하류 동영상
조류관찰대
* 이곳에 오면 늘 철새에 대하여 관심이 생긴다. 그래서 설명을 한번 보고 잊어먹고, 다시 오면 또 한번 보고....보고 잊고, 보고 잊고....이게 내가 살아가는 일상의 모습같다.
검둥할미새: L 21cm, 텃새
몸 윗면과 가슴, 꼬리는 검은 색이다. 눈썹선, 턱 밑, 아랫가슴, 배, 아래꼬리 덮깃은 흰색이다. 번식후에는 어린 새를 동반한 작은 무리를 짓는다. 주로 곤충, 작은 갑각류 등을 먹으며, 꼬리를 위아래로 움직이는 특징이 있다.
참수리: L 88~102cm, W 221~244cm, 겨울철새
멸종위기 1급으로 전 세계적으로 개체수가 아주 적어 매우 보기 힘든 겨울철새이다. 몸은 전체적으로 흑갈색이고, 어깨와 꼬리는 흰색이라 비행시 흑백이 대비되어 잘 보인다. 주로 물고기를 사냥해서 먹으며, 작은 포유류나 오리류를 먹기도 한다. 참수리는 우리나라 경찰을 상징하는 새다.
흰꼬리수리: L 84~94cm, W 199~228cm, 겨울철새
멸종위기 1급으로 보기 힘든 겨울철새이나 참수리보다는 개체수가 많다. 노란색 부리와 발, 흰색 꼬리를 제외하고는 몸 전체적으로 짙은 갈색이다. 나이가 들수록 부리의 노란색은 진해지고 머리는 밝은 갈색이 된다. 주 먹이는 물고기이나 작은 포유류와 조류를 먹기도 한다. 흰꼬리수리는 해양경찰의 상징이다.
꼬마물떼새: L 16cm, 여름철새
노란색 눈테가 뚜렸하고 눈앞, 머리 위, 귀깃, 사슴에 검은 무늬가 있다. 수컷은 눈앞과 귀깃이 검은색이며, 암컷은 흑갈색이다. 하천, 자갈밭, 매립지의 풀이 적고 모래와 자갈이 많은 곳에서 서식한다.
흰목물떼새: L 21cm, 텃새
멸종위기 2급으로 꼬마물떼새보다 긴 무리와 다리를 갖고 있다. 목과 가슴 사이에 있는 검은 줄무늬는 번식기때 더 진해진다. 하천가에서 곤충ㄷ증을 먹으며 먹이활동을 하고 자갈이 많은 강가에서 번식한다.
새의 부리 Bird's beak:
새의 부리는 서식환경과 먹이에 따라 모양이 다양하다. 부리의 역할은 먹이를 먹는 것 외에도 많다. 둥지재료를 모으고, 새끼에게 먹이를 먹이고, 깃털을 다듬고, 상대를 제압할 때도 부리를 이용한다.
맹금류:
짧고 튼튼하며 갈고리 모양으로 굽은 부리로 큰 먹이를 찢는다.
오리류:
측면에 각질판이 있는 크고 편평한 부리로 물과 진흙을 걸러서 먹이를 얻는다.
산새류:
뾰족하고 단단한 부리로 작은 곤충이나 열매를 먹는다.
도요물떼새류:
길고 구부러진 부리로 땅 속과 진흙, 습지 깊숙히 묻힌 작은 동물과 식물을 찾아낸다.
새의 발 Bird's feet:
새의 발과 발가락은 이동 및 먹이활동에 적합하도록 생겼다. 일반적으로 새들은 4개의 발가락을 가지고 있으며, 헤엄을 치거나 잠수를 해서 먹이를 구하는 오리류와 가마우지는 물갈퀴를, 몬병아리.물닭 등은 판족을 자기고 있다.
맹금류:
갈고리 발톱으로 먹이를 잡아 죽인다.
비늘
갈고리발톱
나무가지에 앉는 새:
발가락 끝의 발톱으로 지지하고 뒷발가락으로 평행을 유지한다.
발톱
발가락
오리류, 가마우지류:
물갈퀴가 있어 헤엄치기 쉽다.
물갈퀴가 달린 발 가락
물갈퀴/ 복족
논병아리. 물닭:
판족은 물 속에서 추진력을 주고 물 밖에서는 미끄러짐을 막는다.
판족
철새들의 중간기착지 Migratory bird's stopovers:
우라나라는 아시아 대륙의 동쪽에 위치하고 바다와 접해있는 반도로서 비교적 온화한 기후이다. 이러한 환경은 많은 겨울 철새가 월동지 및 이동 중 기착지로 사용하기 적합하며, 여름 철새에게는 번식지로 이용될 수 있다.
》 철새가 이동하는 이유:
철새가 번식지와 월동지를 매년 정해진 계절에 반복하여 이동하는 원인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 환경조건에서는 먹이, 일조시간, 기온, 태양 광선의 각도 등의 변화를 들 수 있다.
》 겨울철새:
러시아 연해주나 시베리아 등 동북쪽 지역에서 번식을 하고 가을에 우리나라에 온다. 당정뜰의 겨울 철새로는 큰고니, 청둥오리, 흰죽지 등이 있다.
》 여름철새;
동남아시아 일대에서 겨울을 나고 봄에 우리나라로 와 번식을 하고 겨울에 다시 남쪽으로 간다. 당정 뜰의 대표적인 여름 철새로는 꼬마물떼새, 개게비, 중대백로, 노랑할미새 등이 있다.
당정뜰까지 이동경로
큰고니 (nhc 1909)
---- 빨강색, 번식지 이동경로
---- 파란색, 월동지 이동 경로
** 월동지 이동 경로:
9월 29일 예벤키시키 출발 -> 11월 9일 퉁라오시 -> 11월 10일 창원 도착.
** 번식지 이동 경로:
3월 2일 창원 출발 -> 3월 3일 라오닝성 다양강 -> 3월 8일 퉁라오시 -> 4월 5일 후투네이업시 -> 6월 7일 예벤키스키 도착.
** 큰고니 T4 (빨강) 넥밴드 정보: 당정뜰 하구에서 확인 당시 넥밴드에 T4(빨강) 표기되어 있다.
2019.12. 9 중국 산둥반도 룽청시 성조 부착 -> 2019.12. 14 원주시 섬강 확인 - > 2020. 1. 20 광주시 퇴촌 확인 -> 2020. 2. 4 경기도 하남시 팔당대교 (당정뜰 하구) 확인.
큰고니: L 140cm, 겨울철새
암수의 형태가 유사하다. 어른새는 모두 순백색이고 어린새는 회갈색을 띈다. 부리 끝은 검은 색, 부리는 노란색이다. 저수지, 물이 고인 논, 호수, 하구, 해안 등 수심이 얕은 수면에 생활한다. 목을 곧게 새우고 헤엄치며, 여러 마리가 모여 있을 때 매우 큰 소리를 낸다.
혹고니: L 152cm, 겨울철새
멸종위기 1급으로 우리나라에 오는 고니류 중 가장 개체수가 적다. 큰고니 처럼 몸은 순백색이고, 진한 주황색 부리 위쪽에 혹이 있다. 어린새는 회갈색 몸에 색이 흐린 부리를 갖고 있다. 저수지, 하구, 하천가에서 서식하며 큰고니와 달리 소리를 많이 내지 않는다.
쇠백로: L 61cm, 여름철새, 텃새
당정뜰에서 보이는 백로 중 가장 작다. 원래 여름철새였으나 최근에 텃새화되어 겨울철에도 보인다. 몸은 전체적으로 흰색이며, 부리와 다리는 검은 색, 발가락은 노란색이다. 번식기인 여름에는 목과 등에 장식깃과 머리 위 두가닥 흰색 댕기깃이 생긴다.
민물가마우지: L 82cm, W 130cm, 겨울철새, 텃새
겨울철새이나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텃새화되고 있는 중대형 물새이다. 하천, 호수, 해안가에 서식하며 전체적인 몸 색깔은 검은 색이다. 갈고리처럼 생긴 부리로 물고기를 사냥하며 깃털 방수가 완벽하지 않아 날개를 펴고 깃털을 마말리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무리를 지어 날 때는 V자 대렬을 한다.
호사비오리: L 57cm, 겨울철새
멸종위기종 1급으로 주로 물살이 빠른 하천 중상류에서 서식하는 잠수성 오리이다. 수컷은 광택나는 짙은 녹색머리, 암컷은 연한 갈색 머리로 암수 외형이 다르나 둘 다 길게 뻗은 댕기와 옆구리의 비늘무늬;가 있다.
흰뺨검둥오리: L62cm, 텃새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오리이다. 몸 전체는 짙은 갈색이고 눈썹선과 뺨 부분은 흰색이다. 검은 부리 끝 진한 노란색이 가장 큰 특징이다. 하천가에서 수초와 씨앗, 곤충등을 먹으며, 여름 번식기 때 새끼들과 같이 있는 모습닝 지주 보인다.
* 탐조할 때 알면 좋아요
* 새의 크기:
몸 길이 L = (부리 끝 ~ 꼬리 끝)
날개 편 길이 W = (한쪽 날개 끝 ~ 다른 쪽 날개 끝)
* 새의 크기:
참새 - 재비 - 비둘기 - 까마귀
* 새의 부위 명칭:
눈태, 눈앞, 턱, 멱, 머리꼭대기, 귀깃, 날개깃, 위꼬리덮깃, 아래 꼬리 덮깃, 꼬리
눈썹선, 눈선,
작은 날개 옆깃
댕기깃, 장식 깃
한강 상류 지역을 자주 올 수 있다는 것이 나의 행복 중 하나일 지도 모른다. 복잡한 도심을 벗어나 있다는 게 좋다. 주변의 나무들이 푸른 색을 띠고 있는 것이 봄에 대한 기대를 불러일으킨다.
새들의 보금자리, 하남 당정뜰:
당정뜰은 한강 중류의 배후습지입니다. 당정뜰은 사계절 내내 수많은 생명을 품고 키워내는 어머니와 같은 곳입니다. 당정뜰에 봄이 오면 자갈밭에서 흰목물떼새가 생명을 품습니다. 여름이 오면 갈대숲에서 개게비가 큰 소리로 노래하며 번식을 합니다. 가을이 오면 월동지로 이동하는 나그네새들이 쉬었다 갑니다. 겨울이 오면 터줏대감 큰고니와 오리들이 돌아와 사이좋게 지내고, 참수리와 흰꼬리수리가 수시로 방문합니다. 당정뜰에서 관찰된 법정보호종은 멸종위기종 14종 (1급: 참수리 외 4종, 2급: 큰고니 외 8종, 천연기념물 13종 (황조롱이 외 12종)이 서식하는 건강한 땅입니다. 생태 모니터링 활동은 지속 가능한 지구 환경 보존을 위한 첫걸음입니다. - 살고싶은 하남, 도약하는 하남.
당정뜰의 새:
청둥오리, 쇠오리, 원앙, 알락오리, 청머리오리, 가창오리, 넓적부리, 고방오리, 흰뺨오리, 흰죽지, 댕기흰죽지, 흰비오리, 비오리, 한국재갈매기/
고니, 큰고니, 혹고니, 노랑부리저어새, 쇠기러기, 큰기러기, 개리, 호사비오리, 백할미새, 삑삑도요새/
쇠백로, 말똥가리, 새매, 참매/
중대백로, 왜가리, 참수리, 흰꼬리수리/
물닭, 검은댕기해오라기, 민물가마우지/
논병아리, 뿔논병아리, 흰목물떼새, 꼬마물데새, 깝작도요새, 알락할미새, 노랑할미새, 검은등 할미새,/
괭이갈매기, 쇠제비갈매기, 물총새, 개개비, 때까치, 새호리기, 매, 황조롱이/
딱새, 박새, 쇠박새, 붉은머리오목눈이, 직박구리, 파랑새, 꾀고리, 오색딱따구리, 물까치/
당정뜰 수변공원 동영상
당정뜰수변공원 동영상
미세먼지로 주변이 뿌옇다.
스타필드 하남
하남생태연못길
하남 유니온타워 (전망대)
생태연못
메타세쿼이아 길
당정뜰수변공원 동영상
하남유니온타워
H=105m, 이용요금 무료, 1~4층, 승강기 소요시간 약 53초. 하남시 주변 조망 탁월함.
② 실내체육관 : 300평(배드민턴, 탁구 등)
③ 관리동: 1,300평(사무실, 중앙제어실 등)
④ 생태공간 : 연 못
⑤ 어린이 물놀이터: 600평
⑥ 문화공간 : 2,500평(잔디광장, 야외무대 등)
⑦ 운동공간 : 테니스장6면, 게이트볼장 등
- 매주: 화∼일요일 09:00∼21:00 개방
- 휴관일 : 매주 월요일, 기타 명절(설날, 추석)연휴 휴관
▶ 유니온파크 주차시설:
1) p1 (유니온파크 정문 주차장 ):
2) p2 (유니온파크 후문 주차장 ):
3) p3 ( 유니온파크 공터 주차장 ):
하남 메타세쿼이아 길
당정뜰 메타세콰이어 길:
당정뜰 메타세콰이어 길은 1999년 부터 하남시 공사현장에서 버려지는 나무를 살리고자 도시숲인 나무고아원 조성과 함께 기증 받은 나무를 공무원들이 식재하기 시작한 것을 계기로 삼아 2007년에 덕풍교에서 산곡교까지 1.2킬로미터 구간에 메타세콰이어와 낙우송 404그루를 식재하여 오늘날 걷고 싶은 산책길로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잇다. 이 안내판은 시민들과 공직자들이 함께 협력하여 만든 역사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자 설치하였다. - 하남시.
<- 6.9km 위례 사랑길(팔당댐), <- 1.9km 위례 사랑길(산곡천),
-> 위례 강변길 (경정공원) 0.5km, -> 위례 강변길 (나무고아원) 4.9km,
↗ 위례 둘레길(남한산성) 9.3km, ↗ 위례 사랑길(시청)
덕풍천 & 어도(魚道)
덕풍천: 하남시 상사창동의 남한산성 북문(전승문) 밖 동림사지에서 발원하는 하천으로 고골계곡을 지나, 법화천 등이 합류하고, 하사창동, 교산동, 춘궁동, 덕풍동, 신장동 등을 거치는 약 8.5km 길이의 하천이다. 덕풍천은 덕풍동을 지난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개천은 비교적 짧은 하천이지만 홍수때 유수량이 많아 관개수로도 많이 이용되었다.
미사뚝방길 입구 이정표:
-> 위례 사랑길 (팔당댐) 7.0km, ↖ 위례 강변길(경정공원) 0.4km, ↖ 위례 강변길(나무고아원) 4.8km,
↘ 위례 둘레길 (남한산성) 9.4km
미사뚝방꽃길.....봄엔 벚꽃의 파라다이스를 이루는 곳!!!
미사뚝방꽃길 종합안내:
미사뚝방꽃길 총 4.9km:
나무고아원 - 1.5km - 미사리 선사유적지 - 1.9km - 당정근린공원 - 1.5km - 덕풍천
당정뜰 수변공원
당정습지 큰고니
이곳 당정습지는 한강 본류 중에서 유일하게 수심이 낮고 수초들이 많아 약 198종의 다양한 새들이 관찰되는 곳이다. 일명 백라고도 불리는 큰 고니는 천연기념물 제201-2호로 지정하여 보호받고 있는 겨울 철새로 몸길이가 약 1.5m, 펼친 날개가 2.4m 정도인 대형조류로 한강에서는 유일하게 하남 당정습지에서 매년 300여마리가 관찰된다.
당정섬 기념비
당정섬 유래:
팔당댐에서 물길을 따라 내려오면 팔당대교 바로 아래서 산곡천, 덕풍천과 만나 게 되는 데, 이 곳이 옛 당정 (堂亭) 섬의 어귀다. 이곳 어귀에서 갈라져 지금의 조정경기장 쪽과 남양주시 쪽으로 당정섬을 경계로 분류되어 흘러 미사섬 하류에서 합류되었으며, 이 섬은 사질양토로 이루어져 선사시대 부터 인류가 살았던 곳으로 미사리 섬과 인접해 있었다.
당정섬은 행정구역상 하남시 당정동에 속하며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 인하여 대부분의 주민들이 육지로 아주하고 농경지로 남아있다가 수마로 마울의 형태를 잃어가던 중 1994년 한강종합개발사업으로 영원히 그 모습을 볼 수 없게 되어 옛 지형 형태와 상황을 기록하여 국토의 변화를 알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여기에 기념비를 세우게 되었다.
섬이 사라지기 전의 크기를 동서 2.3km, 남북 1.25km로서 전체면적은 2.875㎢ 이며, 지리적으로는 동경 127도 13' 50", 북위 37도 33'50"에 위치하였다. 남양주시와 와부읍 예봉산의 중턱 쯤 올라가 당정섬을 내려다보면 한 폭의 그림같은 절경이었다. 푸른 강물과 흰 모래사장으로 둘러싸여 뽕나무, 밤나무가 울타리를 친 섬에는 땅콩밭이 널퍼짐하게 널려있고, 나루터에 옹기종기 모여 이마를 맞대고 있는 초가집들은 동양화에서나 찾아볼 수 있었던 한 폭의 바로 그것이었다. 더구나 아침 안개가 자욱할 때는 강기슭의 거룻배가 금방이라도 신선을 태우고 두둥실 떠다닐 것 같은 연상 작용까지 겹쳐 신비로움의 극치를 이룬다. 지명 유래는 조선 개국공신 조반(趙胖)의 후예인 한성부 좌윤 조필방이 아들과 함께 예봉산에 사냥을 왔다가 이곳을 내려다보고 하도 아름다워 "장차 벼슬에서 물러나면 저곳에서 살리라" 했다는 데, 이 말이 현실로 되어 당점섬에 들어와 처음 (조선 현종 병오년. 1666년) 살기 시작하였다. 이리하여 白川(백천) 趙氏(조씨)가 이곳에 많이 살게 되었으며, 이들은 이곳에 정자를 짓고 풍류를 즐기게 되니 정자가 있는 곳이라 하여 당정리(堂亭里)라 부르게 되고, 이 말이 변하여 당쟁이가 되었다고 한다.
▶ 미사경정공원 (조정경기장):
미사리조정경기장 동영상
미사경정공원 조정호 수면 사용 준수사항
1. 조정호 수면 훈련 이용절차
1) 대한체육회.대한장애인체육회 소속 단체의 등록 선수만 이용 가능
2) 각 소속 협회를 통하여 수면 사용계획서9연간 훈련 계획) 제출
3) 훈련 전 경정지원팀 (관리동 1층) 방문하여 수면 사용 대장 작성
4) 수면 훈련은 감독 및 코치 지도하에 실시 (선수 개인 훈련 불가)
훈련 전.후 수면 이용 안전교육 시행(위급사항 발생시 대처 방안 등)
5) 훈련 목적 외 영업행위 절대 금지
불법행위 적발시 즉시 퇴장 및 수면 이용자격 박탈.
2. 수면 이용 질서 및 안전 수칙 준수
1) 지도자는 훈련구역 가시 거리에 위치하여 전체 훈련 과정을 감독한다.
2) 미사경정공원 내부 도로에서는 오토바이 운행을 금지한다.
3) 기상 악화(우천, 결빙 등) 시에는 훈련을 금지한다.
4) 수면 대관행사가 있을 시에는 훈련을 금지한다.
5) 훈련간 발생한 안전사고에 대한 모든 책임은 훈련팀에 있다.
6) 안전사고 발생시 경정 지원팀 사무실 및
해당 협회로 즉시 통보해야 한다.
비상시 긴급연락처:
경정지원팀 031-790-8883
대한조정협회 02-420-4275
대한카누연맹 02-420-4282
대한장애인조정연맹 02-786-8466
- 미사경정공원
미사리조정경기장 동영상
미사리조정경기장 동영상
관리동 (매점, 카페)
- 레포츠존: 1. 워밍업장, 2. 클럽하우스.
- 경 정 존: 1.경정장, 2, 관람동, 3. 보트동, 4. 경정전광판, 5. 화훼단지.
- 미사숲촌: 1. 잔디축구장, 2. 화훼단지, 3. 산책로, 4. 조경동.
- 조정카누존: 1. 조정카누경기장, 2. 조정카누전광판, 3. 간이경고등, 4. 경교등, 5. 운영동, 6. 관리동.쉼터매점, 7. 자전거보관소, 8. 원형그늘막A, 9. 잔디매장, 10. 원형그늘막B.
▶ 미사경정공원: ( 031-790-8881 )
미사경정공원은 86 아시안게임 및 88 서울 올림픽 당시 조정, 카누경기를 위해 만들어진 공원으로 조정호수를 중심으로 축구장, 족구장 등 스포츠시설을 비롯하여 매점, 자전거 대여 등 편의시설과 놀이시설을 갖추어 시민들의 여가선용 장소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 주소: 경기도 하남시 미사대로 505 미사경정공원(신장동)
- 대지면적: 1,329,933㎡ (주경기장 1,128,592 ㎡ / 워밍업장 201,341㎡ 녹지포함)
- 출입안내:
도보,자전거 출입: 05시 ~20시 / 차량출입: 06시 ~ 20시
* 경정공원 전 지역 개인텐트 설치금지.
▶ 미사리 조정경기장:
- 착공: 1984. 09. 05
- 완공: 1986. 06. 10
- 크기: 길이: 2,212m, 폭: 140m, 평균수심; 3m
▶ 주차요금 안내
- 최초 10분 : 무료
- 이후 10분당: 소형 300원, 대형 600원
- 1일 최대: 소형 10,000원, 대형 20,000원
- 관련 문의; 031-790-8703
<- 남문
미사대로 육교
방태막국수
동래복국
신의주찹살순대
먹보한우
몽촌토성......옹심이 팥칼국수
하남시 나룰도서관
'카테고리 구릅 > 일상들 ( life )' 카테고리의 다른 글
② 응봉산 개나리 축제, 서울숲 공원- ( 2025.03.29 ) (0) | 2025.03.30 |
---|---|
① 2025 응봉산 개나리 축제, 서울숲 공원- ( 2025.03.29 ) (0) | 2025.03.30 |
② 의암댐, 의암스카이워크, 삼악산호수케이블카 - ( 2025.03.26 ) (0) | 2025.03.28 |
① 의암댐, 의암스카이워크, 삼악산호수케이블카 - ( 2025.03.26 ) (0) | 2025.03.27 |
인천 차이나타운, 자유공원- ( 2025.03.24 )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