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청량산,497.1m)
- ( 2021.10.11 )
흐린 날씨에 남한산성을 가보았습니다. 대체연휴인데도 생각보다 등산객은 적었습니다. 그동안 남한산성 보수 공사로 출입이 허용되지 않아 남한산성 산책이 어려웠는데, 오늘 보니 아직 공사하는 모습이 보이긴 하지만 대부분 마무리가 된 것 같았습니다. 나는 오늘 마천동에서 성불사 절 뒤편의 등산로를 따라 연주봉 옹성을 거쳐 서문 곁의 전망대를 지나 서문(우익문)을 통하여 남한산성 내부로 들어갔습니다. 그리고 수어장대를 거쳐 남문(지화문)으러 내려가서 산성터널 앞의 버스 정류소에서 시내버스를 타고 산성역에 내려 전철로 집에 돌아왔습니다. 시간적 여유없이 산행을 하여 산성마을로 내려가보지 못한 것이 조금 아쉽습니다.
○ 산 행: 걸음수 9,735steps, 거리 6.8 km, 소모열량 371 Kcal, 소요시간 01:45 hrs (4:50-6:32, pm), 속도 3.9 km/h.
○ 코 스: 마천역 - 성불사 - 연주봉옹성 - 서문(우익문) - 수어장대 - 남문(지하문) - 남문버스정류소 - (버스점프) - 산성역.
○ 남한산성(南漢山城): 조선시대(1392~1910)에 유사시를 대비하여 임시 수도로서 역할을 담당하도록 경기도(京畿道) 광주시(廣州市)·성남시(城南市)·하남시(河南市) 일원의 해발 480m가 넘는 험준한 지형을 따라 건설된 산성이다. 남한산성의 초기 유적에는 7세기의 것들도 있지만 이후 수차례 축성되었다. 후금(後金)의 위협을 받고 이괄(李适)의 난을 겪은 인조는 1624년 총융사 이서(李曙,1580∼1637)에게 산성의 축성을 명령하여, 2년 뒤에 둘레 6,297보, 여장(女墻) 1,897개, 옹성(甕城) 3개, 성랑(城廊) 115개, 문 4곳, 암문(暗門) 16곳, 우물 80곳, 샘 45곳 등을 설치하고서 광주읍의 치소(治所)를 산성 안으로 옮겼다. 축성 공사에는 각성(覺性)을 도총섭(都摠攝)으로 삼아 전국 8도의 승군을 동원하였는데, 승군의 사역과 보호를 위하여 현재 남아 있는 장경사(長慶寺)를 비롯한 7곳의 사찰을 새로 건립하기도 하였다. 남한산성은 건립된 뒤 오랜 세월이 흘렀지만 아직도 성관 안에는 많은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다. 둘레의 길이는 약 8㎞ 정도이며, 면적도 약 528,460㎡ 에 달한다. 2014.06.22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남한산성 문화재: 남한산성, 남한산성 행궁, 수어장대, 숭렬전, 청량당, 현절사, 침괘정, 연무관, 지수당, 남한산성 사찰 ( 망월사터, 장경사, 개원사터, 장경사 동종)
옛 만남의 광장, '남한산성입구' 버스 종점:
3314 (마천동<->강변역), 3315 (장지공영차고지<- > 강변역), 3316 (마천동<->천호역), 3416 (마천동<-> 은곡마을입구.리엔파크2단지)
" 송파구 안녕히 가십시오. 여기는 하남시입니다. "
'쌍바위가든' ( 02-3401-5252/ 경기 하남시 감이동 369-1)
성불사 (02-400-5915/ 경기 하남시 감이동 368-1)
남한산성 등산로 입구
<- 1.3km 우익문(서문), <- 0.8km 연주봉옹성, -> 성불사 1.0km, -> 쌍바위약수 0.8km
하남시 전경
연주봉옹성
옹성(甕城)은 성문(城門)을 보호하기 위하여 성문 밖으로 한 겹의 성벽을 둘러쌓은 이중(二重) 성벽을 말한다. 성 내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이 옹성을 먼저 통과해야 했으며, 성벽에서 밖으로 돌출되어 있어 성문으로 접근하는 적을 3면(三面)에서 입체적(立體的)으로 공격(攻擊)할 수 있도록 한 시설물(施設物)이다. 남한산성에는 모두 5개의 옹성이 있다. 연주봉옹성은 북서쪽의 요충지인 연주봉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연주봉에서 바라보면 아차산과 남양주 일대의 한강이 조망되고, 이성산성과 하남시 춘궁동 일대가 특히 잘 보이며, 성 내부의 지역도 관측되는 중요한 요충지이다. 연주봉옹성은 둘레가 315m에 면적은 865㎡이고, 73개의 여장이 있었다. 남한산성도의 옹성 말단에 포루라는 표기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옹성에는 포루가 있었지만 현재는 남아 있지 않다. 이 옹성 역시 2000년 토지박물관에서 발굴조사 후 현재는 복원되어 있다.
연주봉옹성에서 바라보는 벌봉 방향
남한산성 산성마을, 동문, 검복리, 경기광주시 방향의 계곡
연주봉옹성
연주봉옹성과 남한산성 성곽의 제5암문
서울 마천동, 하남 학암동 방향, 멀리 중간 아차산 능선.
서문 곁 전망대
잠실 방향, 롯데월드타워. 바로 아래 부분 송파위례신도시.
왼쪽 중간의 일장산 능선과 멀리 대모산, 구룡산 그리고 관악산 방향
연주봉 능선
서문 (우익문)
<- 3.2km 위례둘레길(벌봉), <-1.1 km 위례둘레길(북문) , -> 푯말삼거리 1.3km, -> 위례둘레길(덕풍골) 9.8km
○ 서문 (우익문)
남한산성에는 동.서.남.북에 4개의 대문이 있는데, 서문은 4개의 대문중 규모가 가장 작고, 산성을 처음 쌓았을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조 3년(1799)에 다른 문과 같이 개축하며 우익문(右翼門)이라 칭하였다. 행궁을 중심으로 국왕은 남쪽을 바라보며 국정을 살피니, 서문이 행궁의 우측에 있어 우익문이라 하였다. 서문은 인조15년(1637) 1월 30일 왕이 세자와 함께 청나라에 항복하기 위해 남한산성을 나간 바로 그 문이다. 남한산성의 서쪽 사면은 경사가 급해 물자수송이 어렵지만 광나루나 송파나루 방면에서 산성으로 진입하는 가장 빠른 길이다.
수어장대 가는 길
길과 길
남한산성 옛길
" 왕들의 능행길, 민간의 상업루트 "
남한산성이 위치한 지금의 성남시, 광주시, 하남시는 옛날 조선시대 행정구역으로 보면 모두 광주유수부의 관할지역이었습니다. 광주수유부는 남한산성의 군사요충지적 특성 때문에 매우 중요한 행정중심지였습니다. 또 남한산성은 왕의 이동과 관련이 깊은 곳입니다. 조선시대 왕들은 반드시 선대와들의 능에 성묘를 가야 했으며 왕들의 이런 성묘행사를 능행이라고 불렀습니다. 후대의 왕들이 영녕릉(英寧陵)에 참배를 하려 가려면 일 년에도 몇 차례씩 남한산성 옛길을 이용해 여주까지 가야했습니다. 남한산성 옛길의 또 다른 특징은 조선후기 상거래가 활발해지면서 필요해진 내륙의 유통망으로 민간에서 이용했던 상업루트였다는 점입니다. 많은 보부상들이 바로 남한산성 옛길을 통해 상업유통의 한축을 담담하게 됩니다. 이렇게 이용된 남한산성 옛길은 목적지인 경상북도 봉화의 이름을 따 통칭 봉화로라고 불렀습니다.
수어장대 앞 길가 멋진 소나무
수어장대(守禦將臺) 와 청량당(淸凉堂)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호, 제3호):
수어장대는 지휘와 관측을 위한 군사목적으로 지은 누각이다. 남한산성에 있던 5개의 장대 중 유일하게 남아있으며, 성 안에 남아있는 건물중 화려하고 웅장하다...남한산성 축성때 단층으로 지어 서장대라 불리던 것을 영조 27년 유수 이기진이 왕명을 받아 이층으로 다시 짓고 '수어장대'라 편액을 달았다. 수어장대 2층 내부에는 '무망루'라는 편액이 달려 있었는데, 병자호란 때 인조가 겪은 시련과 8년간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가다가 귀국하여 북벌을 이루지 못하고 승하한 효종의 원한을 잊지 말자는 뜻에서 영조가 지은 것이다. 현재 무망루 판액은 수어장대 오른편에 보호각을 지어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보관하고 있다.
청량당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온다. 이 사당은 남한산성 쌓을 때 동남측 축성의 책임자였던 이회 장군과 그의 부인의 넋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이회는 공사비를 횡령했다는 누명을 쓰고 죽임을 당했고 이 소식을 들은 부인 송씨는 한강에 몸을 던져 따라죽었다. 이회는 죽을 때 자신의 죄가 없으면 매 한마리가 날아올 것이라 에언 했는데 과연 매가 날아와 그의 죽음을 지켜보았다 한다. 후에 누명이 벗겨지고 그가 맡은 공사가 가장 잘된 것으로 알려지자 사당을 지어 초상을 안치하고 넋을 기렸다. 원래의 청량당은 6.25 전쟁때 소실 되어 다시지었다. 서장대가 있는 산 이름이 청량산이므로 청량당이라 이름 지었다.
청량당(淸凉堂)...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호):
○ 청량당: 청량당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온다. 이 사당은 남한산성 쌓을 때 동남측 축성의 책임자였던 이회 장군과 그의 부인의 넋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이회는 공사비를 횡령했다는 누명을 쓰고 죽임을 당했고 이 소식을 들은 부인 송씨는 한강에 몸을 던져 따라죽었다. 이회는 죽을 때 자신의 죄가 없으면 매 한마리가 날아올 것이라 에언 했는데 과연 매가 날아와 그의 죽음을 지켜보았다 한다. 후에 누명이 벗겨지고 그가 맡은 공사가 가장 잘된 것으로 알려지자 사당을 지어 초상을 안치하고 넋을 기렸다. 원래의 청량당은 6.25 전쟁때 소실 되어 다시지었다. 서장대가 있는 산 이름이 청량산이므로 청량당이라 이름 지었다.
사적 제57호 남한산성
수어장대
1992~1893 | 경기도박물관 소장
장대란 지휘관이 올라서서 군대를 지휘하도록 높은 곳에 지은 건축물이다. 수어장대는 남한산성의 서쪽에 자리하고 있는 장대로서 남한산성에 세워졌던 5개의 장대 중 현존하는 유일한 건물이다. 이 사진은 1892~1893년 사이 이플리트 프랑뎅 (Hippolyte Frandin)이 찍은 수어장대 모습으로, 1900년 4월 14일 부터 11월 12일 까지 열린 파리 국제 만국박람회의 공식 엽서 이미지로 사용되기도 했다.
守禦將臺_수어장대
수어장대는 임금을 보위하는 장군이 지휘하는 높은 장대를 말한다. 이곳에 오면 참혹한 역사가 안타깝다는 생각이 든다. 병자호란 때 10만여 청군의 남한산성 포위 속에서 1만3000명 정도의 조선의 병력으로, 한달 정도의 비축 군량만으로 어떻게 이를 견뎌내겠는가? 결국 인조는 전쟁 발발 후 2개월도 넘기지 못하고 추운 엄동설한에 말도 타지 못한 채 걸어서 송파 삼전도에 내려가 청 태종에게 머리를 땅에 아홉번 찍으면서 까지 굴욕의 三拜九叩頭禮(삼배구고두례)의 항복의식을 가져야 했다. 국제정세에 어두운 조정의 친명배금(親明排金) 정책의 실수가 초래한 결과이다. 신하들은 이러한 절체절명의 시간 속에서도 주화론(主和論) (김명길) 과 척화론(斥和論) (김상헌) 으로 갈려 갑론을박 싸움이나 하고 있었다. 그 사이 죄없는 백성들만 굶주림과 추위에 떨고, 백성들 수십만명이 청에 끌려가는 고통을 당하였다. 나라가 잘 못 되면 백성만 죽고 고난을 당한다. 결국 한 나라의 지도자들의 지혜와 영도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우리는 역사에서 배워야 한다.
1637년 (인조15년) 2월 24일 인조와 대신들이 송파 삼전도에 내려가서 홍타이지에게 항복하며, 삼배구고두례를 행하고, 의식이 끝난 후 창경궁으로 돌아가는 길에 포로로 끌려가는 수많은 백성들이 울부짖는데 그 수가 만여 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 被擄子女望見, 號哭皆曰: "吾君、吾君, 捨我而去乎?" 挾路啼號者, 以萬數.
( 피노자녀망견. 호곡개왈: "오군, 오군, 사아이호?" 협로제호자, 이만수.) "
사로잡힌 자녀들이 바라보고 울부짖으며 모두 말하기를,
“우리 임금이시여, 우리 임금이시여. 우리를 버리고 가십니까.”
하였는데, 길을 끼고 울며 부르짖는 자가 만 명을 헤아렸다." - 인조실록 34권, 인조 15년 1월 30일.
※ 병자호란 주요 연표:
- 1598년 (선조 31년): 임진왜란 끝남.
- 1608년 (선조 41년): 광해군 즉위.
- 1616년 (광해군 9년): 누루하치 후금 건국.
- 1618년 (광해군 11년): 명과 후금의 전쟁, 명에 원병 파견함.
- 1619년 (광해군 12년): 강홍립 후금에 투항. -> (중립외교).
- 1622년 (광해군 15년): 명나라 장수 모문룡 가도에 주둔.
- 1623년 (광해군 16년): 인조반정으로 인조 즉위. -> (친명배금정책)
- 1624년 (인조 2년): 이괄의 난.
- 1627년 (인조 5년): 정묘호란 발생.
- 1635년 (인조 13년): 후금 내몽고 점령.
- 1636년 (인조 14년): 후금 청으로 국호 변경하고, 조선에 군신관계 요구 (척화론과 주화론 대립).
12월 28일 병자호란 발생. 남한산성 전투.
- 1637년 (인조 15년): 2월 24일 인조 송파 삼전도에서 항복. 청과 사대관계 맺음.
- 1644년 (인조 21년): 명나라 멸망. 청 중국 통일.
청량산 정상 (497.1m) & 수어장대
무망루
무망루
조선 영조27년(1751) 광주 유수 이기진이 증축한 수어장대 2층의 내편(內篇) 문루로서 그 편액(扁額)이 2층 누각에 있어 1989년 전각을 건립하고 이 안에 현판을 새로 설치 일반인이 볼 수 있게 하였다. 무망루는 병자호란 때 인조가 겪은 시련과 8년간 청나라 심양에 볼모로 잡혔다가 귀국 후 북벌을 꾀하다가 승하한 효종의 원한을 잊지말자는 뜻에서 영조가 이믐지은 것이다.
매바위, 그리고 '수어서대" 암각글씨.
청량당에 위폐가 모셔진 남한산성 공사 책임자 중 한사람이었던 이회가 공사비 횡령에 연류되어 억울하게 처단되자 죽 전에 자신의 죄가 없다면 매가 날아와 이 바위에 앉을 것이라고 유언을 했는데, 그 후 과연 매가 날아와 매바위에 구슬피 울었다고 하며, 다시 확인해 보니 죄가 없음이 드러났으며, 오히려 다른 구간보다 성이 더 견고히 축성되었음이 밝혀졌다. 예나 지금이나 모함은 한 인간을 파멸로 이끌기도 한다.
▶ 남문 가는 길:
제6암문(서암문)
암문은 적의 관측이 어려운 곳에 설치한 성문으로 일종의 비밀통로이기 때문에 크기도 작고, 적에게 쉽게 식별될 수 있는 시설도 설치하지 않았다. 이 암문은 성벽의 흐름 방향과 달리 입구가 북서쪽을 향하고 있어 외부에서 쉽게 관측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북동쪽의 성벽을 돌출하여 암문으로 접근하는 적을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원성에 설치된 12개 암문의 외측 개구부는 대부분 홍예식이지만 제2암문과 더불어 이 암문의 개구부는 평거식이다. 인조 15년(1637) 1월 23일, 한밤중에 습격해 온 청병을 크게 물리친 곳이라 하여 이 암문 부근을 '서암문 파적지'라 부른다.
칼 쓴 십자가
" 천주교 비극의 역사, 남한산성 "
남한산성 성지성당 내부에는 순교자들의 옥에 갇혀있을 때 쓰고 있었던 칼이 채워져 있는 독특한 십자가상이 있습니다. 천주교 탄압의 본격적인 서막은 신유박해(1801년) 부터였는데요. 천주교에 대해 큰 반감이 없었던 정조가 승하하자 정순황후가 가혹한 탄압을 시작한 것이죠. 박해의 진짜 이유는 정조시기에 세력을 키운 남인을 숙청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 때문이었습니다. 바로 이 신유박해 때 남한산성에서 첫 순교자가 발생하게 됩니다. 천주교 신자가 광주 및 인근 지역에서 잡히면 남한산성 포도청으로 이송되어 감옥에 갇혔습니다. 순교자들은 심문을 당하다 결국은 감옥에서 순교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교살형이나 교수형이 대부분 감옥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감옥이 곧 순교터가 되었습니다. 감옥에서 죽거나 고문 끝에 죽은 순교자들은 동문 밖으로 시신을 버렸는데 그 장소가 수구문이었습니다. 시체가 너무 많이 나가고 피가 물처럼 흘러 수구문은 시구문으로 불리기도 하였습니다.
남한산성 (사적 제57호):
1 남한산성 행궁, 2 수어장대, 3 숭렬전, 4 청량당, 5 현절사, 6 침괘정, 7 연무관, 8 지수당, 9 장경사, 10 망월사, 11 개원사, 12 제1남옹성, 13 제2남옹성, 14 남문(지회문), 15 서문 (우익문), 16 연주봉옹성, 17 북문(전승문), 18 동문(좌익문), 19 장경사신지옹성, 20 동장대터, 21 봉암성, 22 벌봉
남한산성은 조선시대 뿐 아니라 삼국시대부터 천연의 요새로 중요한 역할을 하던 곳이다. 백제의 시조인 온조의 욍성이었다는 기록이 있고, 나당전쟁이 한창이던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한산주에 쌓은 주장성이라는 기록도 있다. 고려시대에는 몽고의 침입을 격퇴한 곳이기도 하고 일제강점기에는 항일운동의 거점이 되기고 한 곳이다. 그러나 남한산성은 주로 병자호란으로 기억되는 곳이다. 조선 인조 14년(1636)에 청나라가 침략해 오자 왕은 이곳으로 피신하여 항전하였으나, 왕자들이 피신해 있던 강화도가 함락되고 패색이 짙어지자 세자와 함께 성문을 열고 삼전도에 나가 치욕적인 항복을 한 장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남한산성은 패배를 알지 못하는 곳이다. 성의 외부는 급경사를 이루어 적의 접근이 어렵고, 내부는 경사가 완만하여 넓은 경작지와 물을 갖춘 천혜의 전략적 요충이기 때문에, 병자호란 당시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청군에 함락당하지 않고 47일간이나 항전할 수 있었던 곳이다. 이처럼 오랜 기간동안 우여곡절을 가진 성의 역사처럼 성곽의 형태 또한 단순하지 않아서 하나의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본성, 봉암성, 한봉성, 신남성과 5개의 옹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이다. 인조 4년(1636) 에 중앙부의 가장 큰 폐곡선인 본성이 완성되었고, 병자호란 이후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동쪽의 봉암성, 한봉성 등을 비롯하여 여러차례 증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남문 (지화문)
남한산성에는 동.서.남.북에 4개의 대문이 있었는데, 남문은 남한산성에 있는 4대문 중 가장 크고 웅장한 중심문으로 현재에도 출입이 가장 많은 곳이다. 선조때 기록을 보면 동문. 남문. 수구문의 세문을 수축하였다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남문은 인조2년(1624) 수축되기 이전 부터 이미 있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남문은 정조3년(1779) 성곽을 보수할 때 개축하여 지화문(至和門)으로 이름이 붙여졌으며 4대문 중 유일하게 현판이 남아있는 문이다. 병자호란으로 인조가 처음 남한산성으로 들어올 때 바로 이 문을 통해 들어왔다.
지화문
지하문(남문): 정조3년 성곽을 보수 할 때 '지하문'이라 칭하였고 남한산성 4대문 중 가장 크고 웅장한 중심문이다. 유일하게 현판이 남아있다. 또한 현재는 성남으로 통하는 관문역할을 하고 있으며, 성문앞에 식재된 (350년 수령, 성남시 보호수) 느티나무와 함께 문화와 역사가 살아숨쉬는 시민의 역사터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 성남시.
지하문(남문) 밖의 보호수 느티나무 ........500년 수령, 둘레 160cm, 수고 16m
세계유산 남한산성 종합안내판
1코스: 산성로터리- 북문- 서문- 수어장대- 영춘정- 남문- 산성로타리 ( 3.8km, 1시간 20분 )
2코스: 산성로터리- 영월정- 숭렬전- 수어장대- 서문- 국청사- 산성로타리 ( 2.9km, 1시간 )
3코스: 남한산성 역사관주차장- 현절사- 벌봉- 장경사- 망월사- 지수당- 남한산성 역사관주차장 ( 5.7km, 2시간 )
4코스: 산성로터리- 남문- 남장대터- 동문- 지수당- 개원사- 산성로타리 ( 3.8km, 1시간 20분 )
5코스: 남한산성 역사관주차장- 동문- 동장대터- 북문- 서문- 수어장대- 영춘정- 남문- 동문 ( 7.7km, 3시간 20분 )
남한산성비석군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114-1번지 소재 )
성 내에는 18~20세기 무렵에 설치된 39여기의 비석이 있다. 이 중 본 부지(남문진입로)내로 남한산성 행궁 복원 사업에 따라 이전된 11기와 현 위치에 보존되어 있던 19기를 포함한 총30기의 비석을 한곳으로 모아 남한산성을 방문하는 탐방객들에게 옛 선현의 발자취를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후대에 소중히 전승될 수 있도록 비석을 한 곳으로 옮겨 정비해 놓았다. 이곳에 있는 비석은 역대 광주유수(廣州留守) 및 수어사(守禦使), 부윤(府尹), 군수(郡守)의 비로서 재직시 백성들을 정성스레 돌봐 치정을 잘 했거나 사랑을 베풀어 선정을 한 분들에게 백성들이 그들을 추념하여 새운 비로서 광주유수.영의정을 지낸 심상규(沈象奎)의 비를 포함 30기의 비석이 이곳에 위치하고 있다.
'카테고리 구릅 > 나의 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자산 (134m)- ( 2021.10.23 ) (0) | 2021.10.23 |
---|---|
경기광주 칠사산 (363.7m) - ( 2021.10.13 ) (0) | 2021.10.14 |
남한산성- ( 2021.06.25 ) (0) | 2021.06.25 |
하남 객산 (292m)- ( 2021.05.10 ) (0) | 2021.05.11 |
하남 이성산 (209m)- ( 2021.05.06 ) (0) | 2021.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