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구릅/일상들 ( life )

수서 광평대군묘역, 쟁골마을, 탄천, 문정동 법조타운- ( 2025.01.24 )

by the road of Wind. 2025. 1. 25.

수서 광평대군묘역, 쟁골마을, 탄천, 문정동 법조타운

- ( 2025.01.24 )

 

강남 일원동에 볼 일이 있어 갔다가 3호선 일원역에서 부터 전주이씨 광평대군파 묘역을 거쳐 수서궁마을공원, 쟁골마을을 거쳐 탄천, 그리고 문정동 법조타운을 지나 8호선 문정역까지 산책 해 보았습니다. 날씨가 봄 날씨 같이 좋았습니다. 특히 수서궁마을 공원을 거쳐 산 비탈길을 따라 능선을 올라 능선 사거리 갈림길에서 쟁골마을 방향으로 하산해 보았습니다. 쟁골마을은 조용하였습니다. 옛날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 국면에서 강남 삼성동 봉은사 뒷편 경기고교 근처에 있는 단독주택을 팔고 이 근처 어디로 이사했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었는데, 이곳이 그곳인가 호기심이 났습니다. 마을 아래에서 일하는 주민을 만나 물어보니 박근혜 대통령의 사저를 구입한 곳은 쟁골마을 곁의 교수마을이었다고 합니다. 이곳 내곡동 사저는 박 전 대통령이 탄핵 직후 구속 상태에서 매입했는데, 그 당시 감옥에 있었기 때문에 실제로 이곳에 거주한 적은 없다고 합니다. 지금은 주변인의 도움으로 대구 근처로 내려가 겨우 집을 마련하여 살고 있다고 하는데 생각할 수록 너무 안타깝습니다. 탄핵된 대통령이기 때문에 모든 국가적 지원도 당연히 끊어진 상태라고 합니다. 장장 4년 9개월여 동안을 감옥소 독방에서 보냈다고 하는데, 나이 들고 약하고 아픈 여자의 몸으로 그 감옥살이 기간이 얼마나 힘든 세월이었을까 생각하면 가슴이 아픕니다. 감옥소에 있으면서 몸이 좋지 않아 힘들게 허가를 얻어 수갑차고 사회 일반 병원에 가는 뉴스 영상에 나온 초췌한 그 모습은 아직도 우리의 마음 속에 각인되어 있습니다. 결혼도 하지 않고 독서를 좋아한 여성 대통령이 더군다나 사달이 날까봐 친동생들도 일체 가까이 하지 않았다고 하는 대통령에게 이 무슨 변고인지 안타까운 마음이 아직도 있습니다. 높은 직위일 수록 항상 가장 가까운 주변인들을 조심해야 할 것입니다. 

 

" ...... 집을 건축하였으나 거기에 거주하지 못할 것이요 포도원을 심었으나 네가 그 열매를 따지 못할 것이며......" -  ( 구약성경; 신명기 28장 30절 )

 

나는 탄천을 지나  문정역까지 걸어서 운동을 좀 하려하는데, 세곡동 교수마을 앞의 도로를 건너가 세곡동-수서간 넓은 차도를 건너 탄천 방향으로 걸어가야 한다고 합니다. 탄천에 도착하니 아치형 커다란 다리(숯내교)가 있었으며, 탄천을 다리 위에서 바라보니 이른 봄 풍경 같았습니다. 옛날 탄천변에서 자전거 타고 복정역 인근을 거쳐 모란시장 방향으로 자주 라이딩 하던 생각이 났습니다. 

 

숯내교 다리를 지나가는데, 가까이 서울동부보호관찰소 보입니다. 저곳에는 어떤 사람들이 같혀있을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죄 짓고는 살 수는 없다는 것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서울동부보호관찰소 곁에는 서울동부지방검찰청서울동부지방법원이 나란히 서 있었습니다. 법원에서 소송을 벌이면 얼마나 피가 마르고 스트레스를 받겠나 생각해 보게 됩니다. 우리들은 살아가면서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성경은 늘 경고합니다. 죄인의 자리에 앉지 말고, 죄인의 길에 들어서지 말라고 경고하는 것입니다. 


" 복 있는 사람은 악인의 꾀를 좇지 아니하며 죄인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 " 
- (구약성경; 시편 1장 1절 )

 

 산   책 : 걸음수 8,864 steps, 거리 5.6km, 소모열량 309 kcal, 소요시간 01:26 hrs, 속도 3.9 km/h, 기온 2℃.

 코   스 : (3호선) 일원역 - 광평대군 묘역 - 궁마을공원 - 쟁골마을 -  탄천 숯내교 - 문정동  법조타운 - (8호선) 문정역. 

 

수서역 방향

 

광평대군 묘

 

광평대군 묘역 안내도

 

1. 무안대군묘, 2. 광평대군묘, 3. 영순 묘, 4.영순군 김제군 부인묘,  5. 남천군묘, 6. 청안군묘, 7. 회원군묘, 8. 곤명군묘, 9. 임정부정묘, 10. 승평부정묘, 11. 도청, 12.  사장, 13. 재실, 14. 종회당(사무실), 15. 화장실, 16. 정문, 17. 안내판, 18. 외삼문, 19. 종가

 

전주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지정번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8호 / 시대: 조선시대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산 10-1 번지 등


이 지역은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 1425~1444)와 그의 부인 평산 신씨(平山申氏)의 쌍분묘(雙墳墓)를 비롯하여 태조의 아들인 무안대군(撫安大君) 방번(芳蕃), 그리고 광평대군의 아들인 영순군(永順君) 과 그의 후손 700여 기의 가 있는 곳이다. 이 지역은 현존하는 서울 근교의 왕손 묘역 중 원형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는 곳이다. 세종은 광평대군에게 후손이 없는 무안대군의 봉사손(奉祀孫)으로 명하였다. 광평대군의 묘는 원래 광주 서촌 학당리 (현 강남구 삼성동 선릉 부근)에 있었는데, 1495년 (연산군 원녀)에 그곳을 성종의 왕릉인 선릉(宣陵) 터로 정하면서 광수산(光秀山)의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사당은 원래 성북구 안암동에 있는 대군이 살던 집에 있었는데 1911년 현 위치로 옮겼다. 제각(祭閣)의 동쪽 아래에 잇는 세장기비(世葬記碑)는 1695년 (숙종21)에 조사한 분묘의 위치를 기록하여 세운 것이다. 이 비는 오래되고도 귀중한 유물로 광대한 종중 묘역의 면모를 알려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다. 이 묘역에는 무안대군신도비. 광평대군신도비. 영순군신도비. 혜정공신도비 등 문화적 가치가 높은 유물도 많이 있다.   

 

종회당 사무실

 

전주이씨 광평대군파 묘역

 

제실 숭모제

외삼문

 

有明朝鮮國宗室昭德大夫 (유명조선국종실소덕대부)
南川君全州李公諱崝神道碑  (남천군전주이공휘쟁신도비)

 

사당 & 내삼문

 

사당

 

사당 뒷편 광수산

 

GRACE & TRUTH HOUSE 은혜와 진리의 집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수서교회

 

수서성당

 

궁마을공원

 

수서동 궁마을 역사탐방로


수서동 궁마을 역사탐방로는 세종대왕의 다섯 번째 아들인 광평대군의 묘역과 궁마을, 수서동 가마터 유적지, 봉헌사 절터 (추정) 등 조선왕조를 포함한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을 체험할 수 있는 산책로로 탐방로를 따라 걸으며 궁마을의 이야기를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다. 그 외 봄꽃과 가을 낙엽 등 사계절을 느낄 수 있는 사색의 공간인 궁마을 비원이 있으며, 궁마을 앞 마당에는 사방치기, 윷놀이 등 전통놀이를 즐길 수 있다.  

1. 수서역, 2. 궁마을 진입부, 3. 궁마을 쉼터, 4. 궁마을 앞마당 (전통놀이마당), 5. 궁마을공원, 10. 광평대군 묘역

( 탐방로 2.6km, 40분 소요 )

 

수서 공원

 

수서동 유적 & 수서동 1구역 유적(건물지)


수서동 유적:  

강남구 수서동 540번지 일원 대모산 동북쪽 사면부에 위치한 수서동 유적은 <수서동 절골사지>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던 곳으로 서울주택도시공사에서 추진하는 세곡2 공공주택지구에 포함되어 2012년 3월부터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2016년 10월 보존 조치를 완료하였다. 발굴 결과 북동쪽 1구역에서는 건물지 9기 및 부속시설이 확인되었고, 남서쪽 2구역에서는 기와가마 4기와 가마 사용 이후 시기의 건물지 3기가 확인되었다. 
대칭인 건물지들의 규칙적인 배치와 발굴된 연화문막새, 범어문막새로 보아 사찰 유적일 가능성이 크며, 명문이 확인 되지 않았지만 고지도와 문헌자료로 볼 때 대모산 북쪽의 <봉헌사>일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발굴된 용무늬 암막새로 보아 왕실 관련 시설일 가능성도 있다. 전용 기와가마를 설치하여 건물을 유지보수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상당히 중요한 건물 유적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수서동 1구역 유적(건물지):

건물지들이 집중 배치된 1구역은 남북 방향의 석축을 기단삼아 서쪽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건물군이다. 중정을 중심으로 대칭된 배치형태는 15~16세기 서울, 경기 일대에서 창건된 사찰 배치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조선 후기 사료인 <승정원 일기>, <헌릉지>, <광주전도>에 따르면 대모산 동북쪽에 <봉헌사>란 사찰 기록이 확인된다. 
봉헌사는 조선 초기에는 헌릉(조선 태종과 원경왕후 및 민 씨 무덤)의 원당이었을 가능성이 있고, 조선 후기에는 헌릉의 속사로 일종의 조포사 기능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자연과학적분석(AMS, 목재연대) 결과 창건 연대는 조선 초 15세기 중반에서 16세 초반으로 볼 수 있고, 폐사 연대는 1756년에서 1800년 사이로 추정된다. 1구역 유적은 현지 보존된 유적으로 보존(복토)된 상부에 당시의 목구조 형태를 볼 수 있도록 건물군 유적을 연출하였다.  
 

 

수서동 기와요지 (건물지)


2구역 건물지 3기는 기와가마 4기와 같이 위치하였으나 문화재청 심의를 거쳐 현 위치로 복원하였다. 발굴 당시 건물지 1호 가마 상부에 중첩되어 조성되었으나, 이전 복원하면서 기와가마와 분리하여 복원하였고, 북쪽의 석열 일부. 폐기장 등의 잔여 유구는 역사공원 내에 매립하여 보관하였다.  2구역 가마와 동쪽에서 확인된 10~12호 건물지(3기)와 석열은 정확한 사용시기는 알 수 없으나 기오가마가 폐기된 이후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가마 내부가 자연퇴적보다는 인위적으로 매워진 것으로 보아 당시 건물지들은 가마 배연부를 파괴하고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중복된 건물지들의 선후 관계는 1호 기와가마(先) -> 10호 건물지 -> 11호 건물지 -> 12호 건물지(後) 순으로 조성되었다.

 

쟁골마을 가는 산 길

 

쟁골마을 내려 가는 길

 

쟁골마을

 

자곡동 쟁골마을

 

쟁골마을은 원래 자양골의 준말로 자양골은 서산을 등지고  동쪽을 향한 마을로 날이 밝으면 제일 먼저 돋는 해의 붉은 볕을 받는 마을이라 붙여진 것이며, 현재 동명인 자곡동은 자양동紫陽洞의 자 자와 지곡리池谷里의 곡 자를 따서 만든 이름이다. 

 

자곡동 교수마을

 

대모산 능선 아래 쟁골마을 방향

 

수서역 방향

 

세곡2지구 3.4단지 

 

수서역, RTX 고속철도역 방향.....아직도 공지가 많구나!!

 

숯내교 방향

 

숯내교...숯내는 탄천의 우리말인 듯 싶다. 

 

탄천

 

대모산 방향

 

탄천은 조용하고 아름답다. 

 

서울동부보호관찰소 방향

 

탄천변은 한강에서 부터 분당까지 천변 산책로와 자전거 도로가 잘 정비되어 있다.

 

서울동부지방검찰청  &  서울동부지방법원 

 

문정동 법조타운 소리공원

 

8호선 문정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