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동구, 하남 초이동 일자산
- ( 2025.05.05 )
집사람 쇄골골절 치유 때문에 거의 보름만에 산행을 해본다. 5월5일 어린이날을 맞아 아들이 쉬기 때문에 내가 오후 시간 해방된 것이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푸릇푸릇한 나뭇잎은 이제 짙은 녹음으로 변해가고 있었다. 자연 만물은 땨뜻한 봄의 계절에 생명력이 약동하고 있었다. 살아 숨쉬고 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감사한 마음이 든다. 아, 봄은 아름다운 계절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싸이클은 모든 살아있는 것들에게 적용될 것이다. 이것은 순환의 자연 질서일 것이며, 살아있는 것들의 한 생애를 의미 할 것이다. 이 무한광대한 측량할 수 없는 우주 속에서 하나의 점 보다 작은 지구촌에 태어나 지금 이 시간을 살아간다는 게 기적일 것이다. 사실 우리 인생은 너무 짧은 한 순간이다. 이 극히 짧은 찰나같은 삶 속에서 우리는 무엇 때문에 무엇을 위해 하찮은 것에 집착하며 살 것인가? 우리의 마음을 모두 내려놓고 무심하게 살아야 겠다.
▶ 산 책 : 걸음수 9,142 steps, 거리 5.31 km, 소모열량 315 kcal, 소요시간 01:32 hrs, 속도 3.4 km/h, 기온 15℃. ( 흐림 )
▶ 코 스 : 하남시 초이동 일자산 입구 - 일자산 해맞이광장(정상) - 서하남 사거리 - 9호선 오륜둔촌역.
어버이날을 앞에 두고 꽃집 잎에는 수많은 카네이션 꽃바구니가 진열되어 있다.
" 부모님 감사합니다. 먹여주시고, 입혀 주시고, 재워 주시고, 가르쳐 주시고, 사람 만들어 주시고...그 모든 은혜 생각하면 차마 얼굴을 들 수도 없이 감사 합니다. 감사합니다. " " 부디 건강히 편안하게 오래 오래 사세요. "
빨간 카네이션은 "어버이의 사랑, 건강을 빌어요", 분홍 카네이션은 "감사, 존경, 아름다움", 흰색 카네이션은 "추모, 아직 당신을 사랑합니다"를 의미한다고 한다.
봄의 광경....농작물 모종
일자산 입구....<- 서하남사거리 4.2km.
송화가루 날리는 5월...
초이휴캠핑장
↖ 5.1km 서울둘레길(오금1교), ↘ 서울둘레길 (명일공원입구) 2.6km
<- 3.3km 일자산 등산로(감북동 방면), -> 일자산 등산로(초이동 방면) 0.2km
A (감북동 입구) ----A구간 총길이 3.5km ----(현위치)--A (초이동 입구)
일자산 초이동 방향 능선 운동 쉼터
<- 4.9km 서울둘레길(오금1교), -> 서울둘레길(명일공원입구) 2.8km
<- 2.0km 강동그린웨이(일자산해맞이광장), -> 강동그린웨이(명일근린공원) 2.8km.
일자산 능선 길 시작...
↖ 1.0km 초이동 행정복지센터, ↙ 1.4km 강동그린웨이 (명일근린공원),
-> 강동그린웨이 (서하남사거리) 3.2km, -> 강동그린웨이 (일자산해맞이광장) 1.5km.
하남 초이동 방향
<- 3.5km 서울둘레길(오금1교), -> 서울둘레길(명일공원입구) 4.2km
< - 1.75km 일자산등산로(초이동 방향), ↘ 대사골 0.32km
A (감북동 입구) ---------------------- (현위치)-- A구간 총길이 3.5km ---- A (초이동 입구)
* 일자산 능선 길 중간 정도의 위치에 와있다.
초이동 방향, 포천-세종 고속도로 ...
↑ seoul trail...서울둘레길
<- 4.3km 서울둘레길(명일근린공원입구), -> 서울둘레길(오금1교) 3.4km,
<- 2.6km 강동그린웨이(명일근린공원), ->강동그린웨이 (서하남사거리) 2.0km,
-> 일자산 숲길 서하남IC 강동그린웨이 입구 1.5km,
↘ 강동그린웨이(허브천문공원) 0.85km, (도시농업공원) 0.4km,
↘ 일자산 숲길 길동생태문화센터 1.0km
<- 1.0km 배다리낚시터, -> 대사골 0.25km
A (감북동 입구) ----A구간 총길이 3.5km ----(현위치)-----------------------------------A (초이동 입구)
찔레꽃
김순자, 강동문인회시인
더 푸르고 짙게
살고저 너울지는 숲 속
생의 한자리
꽃피우기 위해
스스로 짓는 가시덤불
찔레꽃
자아만큼이나 자존있어
가시돋던 인고의 줄기마다
꽃은 피어나
알알히 혼신 다해 짓는 열매
성숙만큼 붉어질 때
비상하는 맑은 영혼 하늘가
구름 한점
일자산 해맞이광장(정상) 직전 운동 쉼터
소나무과 리기다소나무
척박한 땅에서 잘 자라서 헐벗은 산을 푸르게 만들어 준다. 바늘잎이 3개인 것이 특징이다.
* 옛날 내 국민학교 어린 시절 우리 집에서 노젓는 목선을 만들고 있었는데, 우리 아버님께서 나에게 배 만드는 데는 리기다소나무가 최고라고 하셨다. 리기다소나무는 잘 썩지 않고 튼튼하며 따라서 바닷믈이 새어 들어오지 않는다고 하셨다. 어린 나는 호기심에 들었던 그 말씀이 가끔 생각 나기도 하는데, 이곳에서 리기다 소나무 표식을 발견하고 너무 옛 생각과 아버님에 대한 그리움이 긴절하였다. 리기다소나무 표식은 이곳에서 처음 보는 것이다.
바위
- 유치환 시인 -
내 죽으면 한 개 바위가 되리라.
아예 애련(愛憐)에 물들지 않고
희로(喜怒)에 움직이지 않고
비와 바람에 깎이는 대로
억 년(億年) 비정(非情)의 함묵(緘黙)에
안으로 안으로만 채찍질하여
드디어 생명도 망각하고
흐르는 구름
머언 원뢰(遠雷)
꿈 꾸어도 노래하지 않고,
두 쪽으로 깨뜨려져도
소리하지 않는 바위가 되리라.
♠ 유치환(1908~1967): 시인, 교육자. 호는 청마(靑馬). 경상남도 진남군 출생. 통영공립보통학교 수료, 일본 토요야마(豊山)중학교에 유학함. 1926년 귀국하여 동래고등보통학교에 편입, 졸업하였다. 연희전문학교 중퇴함. 1931년 '문예 월간'에 첫 시인 '정적'을 발표하면서 등단. 그 뒤 여러 직업을 전전하던 중 29세에 통영으로 귀향함. 통영에서 통영협성상업학교의 교사가 되었다. 1939년 첫 번째 시집인 '청마시초'를 발간함. 1940년 교사를 사임하고 만주로 피신했다가 해방 후 귀국하여 다시 교육계에 투신함. 통영여중 재직 당시 시인 이영도(1916~ 1976)에 대한 짝사랑은 유명한 일화이다. 살아 생전 20년 동안 연애편지를 써서 보냈다고 한다. .이 편지는 유치환 사후 <사랑했으므로 幸福하였네라>라는 제목의 책으로 출간되어 베스트 셀러가 되었다. 작품: 깃발, 생명의 서, 행복, 바위, 낙화 등.
일자산에서 관찰할 수 있는 새들:
붉은 배새매, 황조롱이, 큰오색딱따구리, 꾀꼬리, 말똥가리, 꿩, 멧비둘기, 뻐꾸기, 파랑새, 직박구리, 때까치, 딱새, 노랑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 집박새, 곤줄박이, 동고비, 쑥새, 노랑턱멧새, 검은머리방울새, 참새, 어치, 까치, 큰부리까마귀 등등... 일자산에는 천연기념물 2종,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1종, 서울시 보호 야생종 6종 등 총 33종의 조류가 관찰되었습니다..
( 2009년 2월 경희대학교 부설 한국조류연구소 )
일자산 해맞이광장 이정표
<- 2.95km 강동그린웨이(명일공원), -> 강동그린웨이 (서하남사거리) 1.65km
일자산 해맞이광장 ( 정상; 134m )
고려말의 문인 이집(李集)의 훈교비(訓敎碑)
둔촌 선생께서 후손에게 이르기를
讀書可以 悅親心 (독서가이 열친심) - 독서는 어버이 마음을 기쁘게 하느니
勉爾孜孜 惜寸陰 (면이자자 석촌음) - 시간을 아껴서 부지런히 공부하라
老矣無能 徒自悔 (노의무능 도자회) - 늙어서 무능하면 공연히 후회만 하게되니
頭邊歲月 苦浸浸 (두변세월 고침침) - 머리맡의 세월은 괴롭도록 빠르기만 하느니라
遺子滿籝金 (유자만영금): - 자손에게 금을 광주리로 준다 해도
不如敎一經 (불여교일경): - 경서 한권 가르치는 것만 못하느니라
此言雖淡薄 (차언수담박): - 이 말은 비록 쉬운 말이나
爲爾告丁寧 (위이고정녕): - 너희들을 위해서 간곡히 일러둔다.
- 서울시테마산책길 -
일자산숲길
서울 강동구와 경기도 하남시를 경계로 하는 134m의 야산이다. 남북으로 한일(一)자 모양으로 뻗어있다 해서 '일자산' 이라 이름 붙었다고 한다. 특히 강동구 야산의 작은 오솔길을 연결하여 푸른 녹지를 걸을 수 있도록 조성된 '강동그린웨이'의 출발점에 해당하는 곳으로 살림욕과 생태체험을 한꺼번에 할 수 있다. 전체구간이 푹신하고 흙길에 경사가 완만하여 산속에 있지만 좁은 오솔길이 아니라 넓은 인도같은 느낌으로 걷는 곳으로 걷는 동안 가벼운 옷차림과 발걸음으로 다닐 수 있다.
* 주변 가볼만한 곳:
- 길동생태공원: 길동생태공원은 생물서식처를 제공하고 종 다양성을 증진시키며, 자연 생태계의 생물들을 관찰.체험힐 수 있도록 하여 시민들에게 건강한 생태공간을 제공하고 환경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기 위한 공간이다.
- 허브천문공원: 길동생태공원 건너편에 위치한 일자산 허브천문공원은 인근 일자산 자영공원과 더블어 조깅코스, 산책로, 전망데크 등 어린이부터 청년, 어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의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 강동그린웨이 가족캠핑장: 강동구 도심 속 일자산자연공원 숲속에 위치하여 자연훼손과 지리적 특성을 최소화하고 지리적 툭성울 그대로 살린 자연 친화적인 가족캠핑장이다.
- 둔굴: 강동구 둔촌동에 있던 마을로서, 둔촌동 뒤 일자산(一字山) 서남쪽에 있는 바위로 된 굴이 있던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고려 말 이집(李集)이 신돈(辛旽)의 박해를 피하여 이곳에 은거하며 호를 둔촌(遁村) 이라 하였으므로 둔굴로 불리었다.
일자산
경기도 하남시와 서울시 강동구 둔촌동에 걸쳐있는 산이다. 남쪽으로 감북동, 북쪽으로 서울시 고덕동과 상일동, 서쪽으로 서울시 둔촌동.길동, 동쪽으로 초이동을 끼고 있다. 서울의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산으로 높이 해발 134m이며, 감북동의 배다리에서 초이동까지 남북으로 약 5km 정도 길게 뻗어 있다. 1971년 일자산 일대에는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되어 휴양시설과 산책로가 조성되었다. 남쪽에는 감북동 묘지가 있고, 북쪽에는 1998년 완공된 일자산허브천문공원, 해맞이공원, 강동 그린웨이 가족 캠핑장이 있고, 길동 생태문화센터가 있다. 약수터가 많아 시민들의 발길이 잦다. 고려말의 문인 이집(李集)의 훈교비(訓敎碑) 가 있다.
<- 5.0km 서울둘레길 (명일근린공원. 고덕역), -> 2.7km 서울둘레길 (오금1교. 올림픽공원), <- 0.14km (해맞이광장), 3.1km (명일공원) 강동그린웨이, -> 강동그린웨이 (둔굴 0.25km, 서하남사거리 1.5km), ↘ 보훈병원역 0.27km
들꽃
- 이석민 시인 -
강동문인회회원
굳이 이름을 붙이지 않아도
하나도 부끄럽거나 아쉽지 않습니다.
바위 틈이라도 뿌리 내려
하늘을 한껏 쳐다볼 수 있다면,
텃밭고랑 한 구석이라도 자리잡아
작은 꽃 살포시 피울 수 있다면,
산모퉁이 돌아가는 길에 호젓히 앉아
맑은 별 하나하나 셀 수 있다면,
굳이 이름을 부르지 않아도
하나도 외롭거나 슬프지 않습니다
남한산성 방향
둔굴:
둔촌(遁村) 이집(李集), 1327년 (충숙왕 14년) ~ 1387년(우왕 13년)
이집 선생은 고려말에 등용된 대학자로서 이색, 정몽주, 이숭인 등과 더블어 절개로 널리 알려진 인물로서 공민왕 17년(1368년) 신돈의 실정탄핵을 계기로 신돈의 박해를 피해 이곳에서 일시 은거하였던 곳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은거 동안의 고난을 자손 후세까지 잊지 않기 위해서 호를 둔촌(遁村) 으로 바꾸었다. 현재 둔촌동의 동명 유래는 이집(李集)의 호인 둔촌에서 비롯된 것이다.
천안의 琴(금), 李 두선생애게
- 이집 詩
昔守天安日( 석수천안일) - 예전에 천안에서 재임했을 때,
古風見兩生 (고풍견양생) - 두 선생의 높은 가르침을 보았네
讀書知力學 (독서지력학) - 책을 열어 노력하여 배우며
營業事躬耕 (영업사궁경) - 생활 또한 힘써 게을리 하지 않았네
嗟我頭將白 (차아두장백) - 아, 내머리 세어 갈 때 까지도
聞君道益明 (문군도익명) - 그대에게 더욱 도를 밝혀 들었네
何時再會面 (하시재회면) - 언제 다시 만날 수 있나
南北未休兵 (남북미휴병) - 남북엔 아직 병화(兵火)가 끝나지 않았네
- 遁村雜詠 (둔촌잡영).
↗ 서울둘레길(오금1교) 2.0km, -> 서울둘레길(명일공원입구) 5.7km, <- 760m 강동그린웨이
대순진리회 서부회관
↑ 일자산 등산로, -> 감북동
서하남사거리 .... 장어의 꿈, 풍천장어 1kg 49500원
강동그린웨이
서문교회
9호선 둔촌오륜역...오늘의 종점.
'카테고리 구릅 > 나의 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② 강화도 고려산 진달래 축제- ( 2025.04.16 ) (0) | 2025.04.17 |
---|---|
① 강화도 고려산 진달래 축제- ( 2025.04.16 ) (0) | 2025.04.17 |
서대문형무소, 안산(296m), 봉원사- ( 2025.02.28 ) (0) | 2025.03.01 |
겨울, 덕소 금대산(89.1m)- ( 2025.02.23 ) (0) | 2025.02.24 |
② 용마산(348m), 구리 아치울마을- ( 2025.02.17 )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