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구릅/my cycle life

① (성내천, 올림픽공원) 라이딩 - ( 2018.11.16 )

by the road of Wind. 2018. 11. 16.

(성내천, 올림픽공원) 라이딩 - ( 2018.11.16 )



                                       세계평화의 문


distance: 19.71 km.
riding time: 02:02 hrs ( total time 3:41 hrs (1:47- 5:28, pm) )
average speed13.2 km/h.
max speed : 29.0 km/hr.

calorie burned:444 kcal

riding course:  ( 뚝섬유원지- 잠실대교(북단) - 한강 (잠실철교) - 성내천- 올림픽공원 일주(*) - 성내천- 한강 (잠실철교) - 뚝섬유원지 )  


* 올림픽공원 일주 : < 북1문 -> 몽촌역사관- > 88호수-> 올림픽수영장-> 올림픽체조경기장-> 한얼다리 ->  엄지손가락 조각품-> 한얼다리-> 올림픽벨로드룸-> 세계평화의 문-> 몽촌호수 -> 곰말다리 -> 나홀로 나무-> 북1문 >


올림픽공원: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공원으로,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위해 건설되었다. 이 공원에는 사이클, 역도, 펜싱, 수영, 체조,테니스 등 6개의 경기장 등의 경기 시설과 소마미술관 등 다양한 문화 시설들이 함께 있다. 올림픽 공원 조성시 발굴된 백제 유적지 몽촌토성도 공원 내에 자리하고 있다. 올림픽공원은 야외조각공원을 비롯하여 88놀이마당, 음악 분수 등과 같은 휴식공간이 조성되어 있다. 기타 주요 시설로는 올림픽회관, 올림픽 파크텔, 몽촌 역사관 등 각종 편익시설이 구비되어 있다.




오후에 강동구 풍납동 성내천을 지나 올림픽공원을 일주해 보았다. 올림픽공원은 확실히 세계적인 공원이다. 공원의 규모나 디자인이나, 수려함이 비교불허이다. 88올림픽경기장이 망라되어 있는 체육공원이자 몽촌토성의 역사적 숨결을 느껴볼 수 있는 아름다운 공원이다. 공원이 전체적으로 유순하고 평화롭다. 나는 오늘 싸이클을 타고 올림픽공원 구경을 하는 호사를 누렸다. 걸어서 산책으로 한 바퀴 돌아보면 더욱 값질 것이다. 아름다운 잔디 언덕이 있으며 조각공원으로의 면모도 좋고, 나홀로 나무 같은 포토 포인트도 있고 부족함이 없다. 공원내 해자형 몽촌호수, 88호수 같은 아름다운 호수도 두 곳 있다. 천천히 걸으며, 감상하며, 조각작품에 대한 설명도 자세히 읽어보면서 한나절을 보냈더라면 하는 생각이 간절하였다. 산책이 힘들 땐 코끼리열차도 운행하고, 가족 도는 연인 단위로 탈 수 있는 4륜구동포차도 운행되고 있으니 이용할 수 있다. 올림픽 북1문 곁에 몽촌역사관이 보였으나 들어갈 시간이 없었다. 오늘 주마간산격이지만 편하게 해 지기전에 자전거로 공원을 한번 둘러보게 되어 좋았다.    



올림픽공원 가는 길:

청담대교...


<- 수변광장, 아리랑범.,


오늘 따라 조용한 강변 자전거 길...


아리랑범선...


강남 삼성동 방향...탄천 하류....


올림픽주경기장....


잠실대교 방향.....한강은 이렇게 조용하구나! 젊은이들은 어디갔나?


잠실대교 북단...수중보 갑문도 닫혀 있고, 둔치에도 억새풀만 하얗구나!


잠실철교 가는 길...


잠실철교, 그 뒤로 올림픽대교... 


롯데월드타워...


언제나 바라보는 테크노마트, 동서울 터미널...


짐실철교....

한강을 건넌다...소실점이 보이는 잠실철교....간헐적으로 전철이 바람을 가르며 스쳐간다.


반짝이는 한강...


잠실대교 남단...


서울아산병원...오른쪽의 성내천으로 달려간다....


바람보다 먼저 흔들리는 포플러나무....


강변의 올림픽로를 지나 성내천으로...



풍납동 성내천:

성내천 하류의 입간판들...


성내천.....길이는 7.72km, 유역면적 34.11 km2이다. 청량산에서 발원하여 송파구 마천동, 오금동, 풍납동을 거쳐 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이다.

1970~80년대에 하천제방과 바닥을 콘크리트로 조성한 결과 유량이 부족하여 1년 내내 건천이 되었다가 생태하천 조성 사업을 통해 2002년 부터 복원 중에 있다. 한강물과 지하철 용출수를 유입시키고 수질조정능력이 뛰어난 수생식물 47,000여 종을 심고, 인공섬을 조성함으로 어류, 조류,곤충이  서식하는 하천으로 탈바꿈되었다.


성내천에서 함께 살아가는 친구들:


*노랑꽃창포- 전국의 냇가나 늪에서 군락을 이루는 여러해살이 습지식물, 갈대와 부들과 함께 흼뺨검둥오리와 덤불해오라기의 중요한 둥지 재료로. 관상용으로 들여와 재배하고 있는 유럽원산의 여러해살이풀.

*물억새- 각지의 연못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9월에 피는 꽃은 처음에는 갈색이나 은백색으로 변한다.
*고마리- 주로 물가에서 자라는 덩굴식물. 꽃은 분홍색, 또는 흰색. 더러운 물에서 자라므로 물의 오염도를 파악하는 식물로 이용되기도 함.

*소리괭이- 열매가 익으면 붉은 빛의 씨앗이 지나가는 바람에도 소리를 낸다하여 소리쟁이라 함. 전국 하천이나 물가에 자라는 귀화식물.

*애기똥풀- 노란꽃이 예쁘지만 독성이 있어 조심해야 하는 풀꽃. 상처를 내면 노란색의 유액이 나와 애기똥풀이란 이름이 붙음.

*층층이꽃- 분홍색의 꽃은 6-9월경 줄기 끝과 가지 끝의 마마디 둘러나는데 층을 이루기 때문에 층층이꽃이라 함.

*붉은토끼풀- 토끼풀과 함께 개항 이후 목초로 도입되었거나 화물에 딸려 들오온 유럽원산의 귀화식물로 토끼풀에 비해 붉고 크다.. 

*벌개미취- 개화기는 6-10월. 꽃의 직경은 4-5cm이며, 통상 황색이다.

*연상홍- 높이 15-19cm, 가지에는 잔털이 있으며 흰색, 붉은 색 계열의 꽃을 피우고 일본에서 관상용으로 들여온 진달래과 여러해살이풀. 종자와 식목에 의해 번식.

*원츄리- 줄기없이 잎만 여러장 겹쳐 자라는 백합과 여러해살이풀. 햇볓이 잘드는 산, 들에서 자라고 종자와 포기나 누기로 번식.

*철쭉- 5월경 연분홍색과 흰꽃이 피고 독성이 있어 먹을 수 없으므로 '개꽃'이라한다. 진다래과 식물로 전국에서 자란다.  등등...



성내천은 흐른다...



성내천 제방 길...


성내천을 가로질러 서울아산병원과 잠실나루역 방향을 이어주는 다리...


아산병원 주차장...옛날 유수지였던 곳을 이렇게 변모시켰다....


서울아산병원....우리나라 최대의 병원의 위용....


1 서울아산병원, 2 연세대세브란스병원, 3 삼성서울병원, 4 서울대학병원, 5 카톨릭서울성모병원, 6 분당서울대학교병원...,  (2013년 상반기 의료보험 청구 기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서울아산병원 구내에 있다...



풍납우성아파트 재건축 중......IPARK...내가 옛날 살았던 곳이어서 감회가 새롭다. 우리 아이들이 국민하교 다닐 때의 일이다. 지금은 세월이 흘러 큰 아들은 장가가서 손자, 손녀를 보고 있다. 이곳에 살 때 이곳 성내천 제방으로 산책 다니던 기억이 새롭다...


올림픽공원 방향으로 길을 내려선다...  



북문 방향...


성내유수지 체육공원...지나온 길...파크리오 아파트, 그리고 롯데월드타워....




올림픽공원:

올림픽공원 북1문...



성내천..오림픽공원을 둘러 나간다...


<- 몽촌역사관...



조각 작품과 전나무...


몽촌역사관..


호젓한 산책로...


까치다리...


88호수...


시몬, 너는 낙엽 지는 소리를 듣느냐?


팔각정...데이트 하는 젊은이들...


팔각정에서 바라보는 88호수...


올림픽수영경기장...


서울역사편찬원...



구성 Composition, 1987,..... 크롬 디미아프, 불가리아


올림픽공원 조깅코스 안내도...


몽촌호수 가는 길...


금고, 돌 등으로 구성하여 만든 조각작품....옛말에 황금을 돌같이 여겨라....


올림픽체조경기장..


멋진 건축 설계....


드넓은 88잔디마당....


핸드볼 경기장....


남문 방향...한얼광장...


딘: 딩댕동 DIN: ding-dang-dong, 1988, 나이젤 헤리어, 오스트레일리아.


엄지 손가락 The Thumb, 1988,  세자르 발다시니, 프랑스.


떨어지는 것은 날아오른다, what falls is flying, 1988, 김은영, 대한민국.


위장지 Impersonation staion, 1988,  데니스 오펜하임,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