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강변 (양수역~아신역) 라이딩
- ( 2021.04.04 )
오늘은 날씨가 흐리다. 주말마다 날씨가 좋지 않다. 오늘 아침을 먹고 나는 자전거를 차에 싣고 팔당역으로 향한다. 팔당역에 주차 시키고, 자전거를 조립하여 양수역으로 점프하여 4대강 국토종주 남한강 자전거길을 달리다 아신역 쯤에서 운동이 적당하다고 생각될 때 전철역으로 가서 다시 팔당역으로 점프 해 돌아오려고 하였다. 수도권 전철도 7호선 처럼 평일에도 오전 10시 부터 오후 4시까지 한가한 시간대에는 자전거 휴대 탑승을 허락했으면 좋겠다. 평일에는 도무지 어디로 갈 수 없으니 답답하다. 그리고, 주말과 공휴일에는 발도 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자전거로 분빈다. 노인들 만이라도 평일 전철을 이용하고, 주말은 스스로 알아서 피하게 하면 자연히 자전거족이 분산되고, 이런 현상은 없어질 것이다. 그러니, 평일 자전거 휴대 승차 금지 상태에서는, 주말과 공휴일에 자전거를 놀리고 있으면 다음 주까지 기다려야 하니 도저히 집에만 있을 수 없다.
오늘 경의중앙선 양수역~아신역 코스의 자전거길은 아주 좋았다. 사람도 분비지 않았고, 집에서 출발할 때는 비옷도 챙겨 가져 갔으나, 햇빛이 나고 청명하여 너무 좋았다. 멀리까지 간다고 무리하지 않고, 산책하는 마음으로 남한강 주변의 자연을 감상하며 달리는 여유가 있고 너무 좋다. 이제 나는 모든 일을 즐기며 하여야 하는 나이가 되었다.
○ distance: 15.46km.
○ riding time: 01:25 hrs (11:56 am ~ 2:51 pm)
○ aver speed: 10.9 km/hr.
○ max speed: 39.7 km/hr.
○ riding course: (경의중앙선) 양수역 - 용담터널- 부용터널 (4,3,2,1) - 신월리성터 - 전나무집 (잔치국수) - 신원역 - 양서초교 - 국수역 - 원복터널 - 복포리- 아신역.
● (양수역-> 아신역) 남한강 길 라이딩:
용담터널, 연장 441m.
부용4터널, 연장 240m
앗, 남한강 길
부용3터널, 연장 284m
부용육교, 연장 25m
부용2터널
부용1터널, 연장 112m.
이 코스는 터널이 많은 구간이지만, 자전거도 많고 산책객도 많았다. 그런데, 터널 속에는 자전거 고글을 벗어야 한다. 시야가 흐려지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달리는 자전거를 세우고 이것을 벗어 가방에 넣고 하는 등 할 수가 없다. 그렇지만 전조등과 후미등은 쉽게 켜서 깜빡이며 서로간 안전을 서로 지켜야 하며, 특히 산책객들은 후래쉬를 지참하여 자신과 가족 을 자전거에서 보호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를 지키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 어린이까지 대동하면서 위험해 보였다. 젊은이들의 자전거 속도는 자동차의 저속과 마찬가지이며, 몸무게로 운동 에너지도 또한 대단하다.
신원리성터 표시석
곳: 양평군 양서면 신원리 (월계)
절길 너머 뒷산 정상에 있다. 이 산은 부용산으로 부리우는데 부용산 봉우리를 둘러싸고 성이 있으며 둘레는 453.7미터이다. 성 안쪽으로 너비 6미터쯤의 평지가 띠모양으로 둘러있고 성의 높이는 4미터 30센티미터이다. 성벽아래 부분에는 큰 장식대를 깔고 다듬은 돌로 고르게 쌓았고 위 부분은 다듬지 않은 돌로 쌓아 고르지 않다. 산의 봉우리는 길이축이 200미터 짧은 축이 50미터인 타원형이다. 성의 규모로 보아 봉화대가 있었을 것으로 미루어진다.
자연생태마을 신월1리 월계.샘골:
* 월계나루와 조선시대 역원 '월계원'
- 월계나루라고 불린 큰 나루터가 있었으며 남한가을 타고 수도 한양으로 가던 공물을 실은 땟목이 마지막으로 정박하던 곳이다. 이 월계나루와 관동대로 덕분에 번성했던 이곳에 '월계원' 이라는 역원이 있었다. 조선시대 역원은 약 30리(12km)마다 있었다.
* 정초부 (월계초부)와 문학:
- 이 마을은 노비시인 정초부(1714~1789)가 살던 곳이다. 정초부는 이 마을에서 나무를 하여 서울 동대문에 내다 팔면서 생계를 유지하였다. 많은 양반들이 정초부의 시를 보고 그와 시를 의논하고 싶어서 이곳에 있던 그의 초가를 방문하였다. 정초부는 대표적인 조선의 민중시인이다.
* 고인돌과 선사시대 유물:
- 고인돌과 수많은 선사시대 유적이 발견된 역사가 오래된 마을로서 비옥한 남한강 벌판을 기반으로 수천년간 사람이 살아온 마을이다. 지금은 물 속에 잠겨버리 넓었던 벌판에는 갈대가 울창했었다.
* 관동대로 와 월계천:
- 월계마을에서 용담리 귀두원 사이에는 조선시대 3로인 관동대로의 한 구간이었던 "월계천(月溪灘_월계탄)"이 있었다. 현재는 용담대교 옆의 6번 국도로서 그 흔적이 남아있다.
* 임진왜란 과 부용산성:
- 신원리 부용산에는 옛 성터가 있는데 임진왜란 때 개군 상자포리에 있는 파사성과 협력하여 용진을 향하는 왜군을 막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부용산 정상
군사전략적으로 남한강을 굽어살펴볼 수 있어 중요한 산이다. 이곳은 정상 주변에 산성이 있는데, 여주 이포보 앞의 파사산성과 함께 남한강의 주요 지점이다. 그리고, 운길산 아래 송촌리의 '마음의 정원' 수변 공원에 있는 북한강변 용진나루터 함께 임진왜란 때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앗, 남한강...멀리 왼쪽 팔당의 예봉산 그리고 중간 낮은 새재고개, 오른쪽에 운길산..
부용산 일대가 잘 드러나 보인다.
그리고, 산 아래 부분에 부용사 (경기 양평군 양서면 신원리 733)와 노란색의 탑이 보이고 있다.
↖ 부용사 0.8km, <- 양수역 4.1km, -> 신원역 0.6km
앗, 신원역 근처, 전나무집 (010-3771-7971) ....
여기에서 잔치국수 (5,000원)를 점심으로 아주 잘 먹었다. 오후 12:41분...배가 고픈데, 아주 잘 먹었다. 이 집은 아주 오래된 집으로 40대 후반 정도의 이모님의 음식맛이 좋으며, 자전거족이나 산책객에게 편리한 음식을 제공하고 있다. 이런 곳이 없다면 무슨 재미로 살지? 남한강을 바라보며 아주 운치있게 음식을 먹을 수 있다.
메뉴...감자전 12,000, 도토리묵 12,000, 두부김치 12,000, 파전 7,000, 메밀전병 4개 10,000, 꼬맹이만두 10,000, 소머리곱창 9,000, 사골만두국 (?), 도토리묵밥 7,000, 잔치국수 5,000, 비빔국수 6,000, 라멘 3,000, 냉국수 5,000, 닭백숙 70,000, 닭볶음탕 60,000, 소주 3,000, 맥주 4,000, 막걸리 3,000, 음료수 4,000.
<- 신원역 0.15km, -> 양수역 4.5km, ↘ 신원리 1km.
신원역
<- 신원역 1.9km, -> 국수역 2.1km, -> 도곡리 0.8km
<- 질울 고래실마을
도곡터널, 연장 177m
국수역
원복터널
↑ 아신지구 2.0km, ↓ 신원역 6.1km, -> 복포리 0.6km
가곡터널, 연장 570m......아신역 1.6km
<- 곤드레밥, 제육쌈밥, 간이역.........아신갤러리
중부내륙고속도로
푸른색 아신역
멋진 남한강 전망대
앗, 백운봉 & 그 왼쪽 멀리에 용문산
한강 하구로 부터 98km
<- 1km 아신역, ↗ 양평역 5km, 4대강 국토종주 한강자전거길.
앗, 아신역...오늘의 종착지입니다.
'카테고리 구릅 > my cycle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② 가평 자라섬, 가평천 라이딩- ( 2021.04.11 ) (0) | 2021.04.12 |
---|---|
① 가평 자라섬, 가평천 라이딩- ( 2021.04.11 ) (0) | 2021.04.11 |
물소리길 (원덕역~용문역) 라이딩 - ( 2021.04.02 ) (0) | 2021.04.02 |
양평 남한강 (양평역~원덕역) 라이딩, 신내서울해장국 - ( 2021.03.27 ) (0) | 2021.03.27 |
팔당유원지~다산삼거리 라이딩 - ( 2021.03.24 ) (0) | 2021.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