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구릅/나의 산행

하남 이성산성 (209m) - ( 2022.02.13 )

by the road of Wind. 2022. 2. 13.

하남 이성산성 (209m)  

- ( 2022.02.13 )

 

 

요즈음 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오미크론 펜데믹 때문에 집에만 갇혀있다. 낮 시간 답답하면 근처 개천 산책로를 따라 한강가에 다녀오는 것이 일상이 되어버렸다. 그러다, 오늘은 집근처 하남 이성산성을 다녀왔다. 오랜만에 오르는 야산의 숲길과 옛날의 산성 흔적 건물터, 저수지 등 유적지에서는 선조들의 역사의 향기를 느끼게 하였다. 이성산성이 있는 이성산은 남한산성 청량산(497.1m)에서 시작한 능선을 따라 하남시 한강 방향으로 내려서다 금암산(321.2m)을 일으키고 향교고개를 지나자 마자 곧 바로 하남시 춘궁동 이성산(209m) 낮게 일으킨 후 한강을 마주하는 평지 부분에서 머리를 숙이는 지세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성산 고지에서는 한강 일대의 조망이 우수하여 한강 상류 지역에서 침투하는 적을 감시하기 좋아 이곳에 이성산성 유적이 있다. 낮은 산이지만 숲이 좋고,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환경 요인인 지하수가 흘러나오고, 이 물이 고여 이성산성 저수지에 녹지 않고 일부분이 얼어있기도 하였다. 모처럼 오늘 오후 시원한 기분으로 맑은 공기도 마시며, 좋은 산행을 하게 되었다.        

 

 이성산(二聖山): 높이가 209.8m의 경기 하남시 광암동에 있는 낮은 산이다. 이성산은 남한산성이 있는 남한산에서 금암산(金岩山)으로 이어진 한강 방향의 산줄기 상에 마지막 낮게 솟아 있는 산이다. 산 양편으로는 동서로 하남의 과 춘궁동과 초이동이 있다. 이성산(二聖山)의 명칭은 백제 왕자 두 사람이 거주했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성산에는 이성산성( 사적 제422호) 유적이 있으며, 이는 553년 신라가 한강 하류를 탈취하여 이 유역을 방어하기 위해 행주산성, 아차산성, 대모산성(양주), 호암산성, 계양산성(인천) 등을 쌓았다고 전해진다.  신라는 지방조직인  '신주(新州)'를 설치하고 치소를 이성산성에 뒀다고 전해져 이성산성의 중요성을 알 수 있게 한다. 이성산성, 아차산성과 함께 한강 상류 지역을 잘 바라보며 탐지하고 방어할 수 있는 낮은 산 위에 있는 요지라고 여겨지는 곳이다.  

 

 산 책: 걸음수 6,641 steps, 소모열량 252 kcal, 거리 4.8 km, 소요시간 01:28 hrs, 속도 3.9 km/h, 

 코 스: 이성산성 주차장 - 저수지(A지구) - 이성산 둘레길 -   남문지 옆  갈림길 -  유적발굴현장 - 남문지 갈림목 - 이성산 정상 (209.1M) - 장방형건물지- 9각 건물지 - 이성산성 동문지 - 저수지(C지구) - 장방형건물지, 9각,12각 건물지 - 저수지(A지구) - 이성산성 주차장.

 

 

 

이성산성 안내소

 

 

이성산성 주차장 (무료)

 

 

하남이성산성, 이성산성 안내도, 하남역사박물관 이성산성AR실감관

 

● 이성산 안내도:

 

1) 저수지(A지구), 2) 9각 건물지,  3) 12각 건물지, 4) 장방형 건물지, 5) 건물지, 6) 8각건물지, 장방형 건물지,  7) 9각 건물지, 8) 건물지, 9) 동문지, 10) 서문지

 

 

● 하남 이성산성:  사적 제422호.


이성산성은 춘궁동 이성산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계곡을 감싸면서 돌로 쌓은 삼국시대 산성이다. 이성산성 면적은 231,313 m2, 둘레는 약 1.9km로, 한강을 포함한 주변 지역을 한눈에 모두 볼 수 잇을 정도로 위치가 좋다. 지리적으로 강북의 적으로 부터 한강 우역과 남쪽의 평야지역을 방어하기 유리한 지점에 있다. 이성산성은 1986년 문화재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장방형, 8각, 9각, 12각 건물지 등 20여 동에 이르는 건물지와 성문지, 저수지 등이 드러났고, 목간(木癎), 요고(腰鼓), 쇠발, 조각품, 벼루, 나무자 등 다양한 유물이 촐토되었다. 이성산성은 처음 산성을 쌓은 사람들이 백제 또는 고구려 사람들이라는 이야기가 있으나 대체로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하고 난 후 6세기 중반에서 8세기 까지 주로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성산성은 삼국을 통일하던 시기 신라의 군사적 요충지(군사적으로 아주 중요한 장소)이자 새롭게 점령한 한강 유역의 행정 중심지, 또는 국가의례와 제사를 실시하던 유적으로 보인다. 앞으로도 꾸준한 조사와 연구를 통해 산성이 처음 만들어진 시기나 정확한 용도, 사용기간 등 밝혀낼 역사적 사실이 많은 고대 산성이다. 성안에서 나온 유물은 하남역사박물관과 한양대학교 박물관 등에서 직접 볼 수있다. 

 

 

 

 

우측 뾰족한, 하남 객산 방향

 

 

푼타 하우스

 

 

'하남 이성산성'

 

 

이성산성 성벽: 

사적 제422호.


이성산성 성벽은 2번에 걸쳐 만들어졌다. 수직에 가깝게 쌓은 1차 성벽은 일정기간이 지난 후 어떤 요인으로 무너졌고, 이상산성의 지배자는 적의 침입에 방비하고 요새를 굳건히 만들기 위하여 다시 성벽을 쌓았다. 새롭게 만든 2차 성벽의 성돌은 마치 옥수수알 모양처럼 둥그스럼한 모양이 되도록 정성스럽게 듬었다. 성돌의 끝은 좁고 길게 깎아 성벽을 만들 때 성돌과 뒷채움돌이 견고하게 물리도록 하였다. 

 

 

하남 이성산성(사적 제22호)에서의 산악자전거 이용을 자제하여 주세요 하남시문화체육과.

 

 

누리장나무

 

나무에서 누린내가 나서 '누리장나무'라고 한다. 나무를 흔들면 냄새가 난다. 

 

 

 

남문지 옆

 

↙ 위례역사길 (남문지) 0.2KM, ->위례둘레길 (남한산성) 6.0KM, -> 위례 둘레길(이성산) 0.6KM 

 

 

 

  

갈참나무:

참나무류 중 가을철에 늦게까지 낙엽이 남아있어 가을 참나무란 의미로 '갈참나무'라 한다.  

 

 

거북바위 (납자리바위)

 

거북의 형상을 하고 있는 바위로 등 뒤에는 삼태성(三台星)* 의 별자리가 새겨져 있으며 신앙유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삼태성(三台星)은 국자 모양의 북두칠성의 물을 담는 쪽에 길게 비스듬히 늘어선 세 쌍의 별이다.

 

 

 

 

수북히 쌓여있는 낙엽에서 늦 가을의 정취가 남아있는 것 같다.

 

 

" 안전 및 문화재 보호를 위하여 출입을 금함. "  하남시청 문화체육과.

 

 

 

멀리 남한산성, 그리고 검암산 방향.

 

 

남문지 갈림목

 

↖ 3.1km 위례둘레길(덕풍골), ↖  0.2km 위례둘레길(이성산), <- 0.6km  위례둘레길(동문지),

-> 위례둘레길(남한산성) 5.6km,  -> 위례둘레길(동사지) 1.3km.

 

 

 

춘궁동(春宮洞): 


춘궁동은 춘장리의 춘(春)자와 궁말의 궁(宮)자를 붙여 춘궁동이 되었다. 춘장(春長) 은 옛 백제시대에 궁궐이 있던 마을을 뜻하며, 궁말도 백제 때의 국궐이 있었던 것을 뜻한다. 

 

 

개암나무:

3월에 꽃이 피며, 열매는 5월경 갈색으로 익고 털이 없으며, 먹기도 하고, 약재로도 쓰인다.  

 

 

하남시 초이동 방향

 

 

이성산 정상, 산불감시 초소

 

 

이성산 해발 209M

 

이성산(二聖山):

 

춘궁동 산 36번지 일대에 위치한 산으로서 해발 209m이며 춘궁동과 초이동을 끼고 있다. 남한산성에서 금암산을 따라 이어진 줄기에 속한 이 산은 이성산성이라 불리우는 석축산성이 있다. 전설에 의하면 백베의 왕자 두 사람이 이 산에 거주 하였다 하여 이성산이라 칭하였다는 설이 있다. 발굴조사 결과 삼국시대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으며, 오래 전 부터 백제 도읍지와 관련하여 학계의 부목을 받아오고 있는 산이다.  

 

 

이성산성 유적지

 

 

위례역사길 코스

 

↖ 2.7km 위례둘레길(덕풍골), 0.1km 위례둘레길(동문지), -> 6.0km 위례둘레길(남한산성), -> 0.2km 위례둘레길(이성산), ↙ 1.8km 위례둘레길(동사지).

 

 

 

 

장방형 건물지와 8.9각 건물지

 

장방형 건물지는 이성산성 정상부에 위치하며 크기는 3,202X788 cm, 내부 면적은 약 76.5평이다. 건물의 장축 방향은 북서-남동 방향으로 정북에서 약 60도 정도 소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초석의 면을 다듬지 않고 기둥이 높이만 약간 다듬어 투박한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했다. 내부에 온돌과 난방과 관련된 유구가 전혀 없는 것으로 보아 일상생활용 건물이 아니라 창고의 역활을 하는 누각형 건물인 것으로 판단된다. 

9각 건물지는 장방형 건물지에서 북동쪽으로 4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출입구나 난방시설 등은 확인할 수 없으며, 초석과 초석 사이에 연결이 되는 몇 개의 할석이 잇는 것으로 보아 1층에도 벽이 있었던 건물로 추정된다. 

8각 건물지는 건물 중심부에 위치한 하나의 초석을 중심으로 1m 거리에 4개의 초석이 위치하며, 270m와 440m 거리에 각각 8개의 초석이 놓여 잇는 8각형의 건물지이다. 안쪽 초석들 사이에 높이 50m 내외의 계란형 돌들이 세워져 이ㅛ는데, 이 돌들은 너무 힘이 약하고 윗면이 둘글어 초석으로 보기는 어렵고, 건물 구조와 관계없는 의례적 의미의 구조물로 생각된다.   

9각 건물지는 9라는 숫자가 완전무결함을 의미하는 하늘의 숫자이므로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한 천단(天壇)으로 볼 수 있고, 9각 건물과 대칭되는 지점에 있는 8각 건물지는 8이 땅을 상징하는 숫자이므로 지신(地神)에게 제사 지내는 사직단(社稷壇)으로 추정된다

 

 

 

 

광주군 향토유적 광주제1호 

이성산성 (二聖山城)

 

 

하남 검단산 & 객산

 

 

팔당의 예봉산, 예빈산 그리고 오른쪽의 하남 검단산

 

 

 

이성산성 동문지

 

이성산성은 한강주변에 접해있는 여러 성 城들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해 있으며,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리적 가치를 지닌 유적이다. 동문東門의 형태는 凹요 모양의 현문식懸門式-출입구가 성벽 중간에 있어 드나들 때 사다리 등의 특수시설을 이용해야 하는 문 이며, ‘ㄱ’ 자형으로 꺾여있어 적으로부터 공격시 효율적인 방어가 가능하도록 축조되었다. 외벽 안쪽으로는 2차 개축 때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문지공석門址孔石-기둥을 무너지지 않게 고정시키는 돌, 문비고정석門扉固定石-문을 닫을 때 문이 뒤로 밀려나지 않게 고정시키는 돌과 집수시설集水施設, 배수로排水路 및 두 차례 이상 개축한 것으로 보이는 측벽이 있다. 문비고정석 중앙 하부는 암반층을 굴토하여 집수시설과 배수로를 만들었으며, 출수구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자연스러운 경사로를 만들어 조성하였다. 이는 동-서 방향의 경사로 인해 성 내부로 흘러들어온 물을 모아 성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Iseongsanseong East Gate Site Located at a strategic point overlooking many other defensive structures built around the Hangang River, Iseongsanseong Fortress had long been regarded as a very important military resource for the defense of today’s Hanam area. The East Gate of the fortress features a type of ‘suspension gate’ which only allowed entry into the fortress via a ladder that could be raised or lowered as necessary. The passage inside the entrance turns sharply at a right angle to allow effective defense of the entrance. An excavation of the gate site led to the discovery of stone column bases, gate stoppers, and a water storage facility complete with ditches, revealing that this part of the fortress underwent at least two major renovation work. The water storage facility with ditches made by digging the ground under the gate stopper is characterized by effective use of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area, the east-west slope in particular, which helped store and drain rainwater flowing into the fortress.

 

 

 

하남시 풍산동, 상일IC &  강동구 고덕지구 방향

 

 

위례역사길 코스

 

<-  0.4km 위레역사길 (남문지),  ↑ 6km 위례 둘레길(남한산성),   ↑ 0.3km 위례 둘레길(이성산), 

↘ 2.6km 위례 둘레길(덕풍골). 

 

 

 

저수지 (C지구)

 

 

<- 장방형 건물지와 12각 건물지,

-> 장방형 건물지와 8.9각 건물지

 

 

졸졸졸 샘물

 

 

장방형 건물지와 12각 건물지

 (사적 제422호)


이성산성에는 여러개의 건물지가 발견되었으며 이 구역에서 발굴된 장방형 건물지 2기는 춘궁동 일대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 건립되었고 일자형의 대형 구조물이다. 건물 중앙의 1m정도 높이의 돌은 이 건물이 파괴된 후 세워진 신앙석으로 추정되며, 12각 건물지는 12각이라는 독특한 구조로서 12개의 초석이 원을 그리며 3겹으로 놓여있고 현재 그 용도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가파른 비탈길

 

 

 

 

↖ 장방형 건물지와 12각 건물지, 

↗ 장방형 건물지와 8.9각 건물지

 

 

 

 

하남 이성산성:

 

1) 남문지, 2) 제2저수지, 3) 장방형건물지, 4) 9각건물지, 5) 12각건물지, 6) 장방형건물지, 7)  장방형부석건물지, 8) 제1저수지, 9) 장방형건물지, 10) 동문지, 11) 9각건물지, 12)장방형건물지, 13) 8각건물지, 14) 북문지, 15) 장방형건물지, 16)  장방형건물지, 17) 서문지

 

 

 

저수지 및 성벽유적:   

 

저수지는 2차에 걸쳐 만들어졌으며 산성 내 자연 계곡 아래 쪽을 막아 저수를 하여 사용하였고, 2차 저수지는 1차 저수지를 준설한 후 4면에 석축을 하여 만들었다. 석축은 매단 50X20X30cm의 돌로 5cm 가량 들여쌓기를 한 것이 특징이다. 성벽은 외벽을 옥수수 알 모양으로 아름답게 돌을 다듬어 축성하였고 그 속에는 이 보다 이른 시기에 축조된 또 다른 성벽이 조사되었으며 성벽 내에는 배수로도 잘 남아있다. 이 산성은 백제가 처음 축조한 것으로 보이며, 그 후 고구려와 신라가 보축(補築) 하여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  1.4km 위례역사길(동사지),  <-  1.3km 위례역사길(광주향교), 

->  3.0km 위례둘레길(덕풍골), ->  0.4km 위례역사길(동문지), 

↗ 6.2km 위례둘레길(남한산성).

 

 

 

 

 

 

 

 

<- 0.1km 이성산성

 

 

뾰족 객산과 광주향교방향

 

 

다시, 이성산성 주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