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용마산(348m), 구리 아치울마을
- ( 2025.02.17 )
용마산 등산길:
집에서 가까워 자주 가는 용마산을 산행하여 보았습니다. 너무 자주 가기 때문에 최근에는 용마산 산행이 뜸 했습니다. 오후 늦은 시간 해 지기전에 다녀오자고 간 용마산은 아름다운 주변 경치로 마음이 아주 흡족하였습니다. 능선 산행 내내 바라 볼 수 있는 서울 시내 전경은 무수한 빌딩들이 한폭의 그림같이 아름답습니다. 그리고 의정부시 방향에서 부터 길게 이어지는 중랑천의 반짝이는 모습과, 용마산 정상에서 부터 하산시 바라다 보이는 한강 상류의 멋진 경치도 일품입니다. 북한산과 도봉산, 불암산, 수락산, 천마산, 백봉산, 예봉산, 검단산, 남한산성, 그리고 도심의 남산, 인왕산 등 주변의 산들이 손 흔들며 반기는 듯 하였습니다. 삼국시대의 군사요충지인 용마산, 아차산엔 도처에 옛 군사 초소인 보루가 산재해 있으며 여기에서의 조망도 훌륭합니다. 아차산과 용마산 사이에 있는 긴고랑은 깊고 그윽한 데가 있는 계곡입니다.
나는 용마산 등산시는 하산길은 깔딱고개 쉼터를 거쳐 7호선 사가정역 방향으로 내려가는데, 오늘은 구리 아치울마을 방향으로 하산하였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구리 아치울 마을은 한 때 우리나라 여성 작가로 이름을 떨친 박완서 소설가가 생애 마지막 시기를 보낸 마을로 더 유명한 마을입니다. 오늘 내가 아치울로 하산한 것도 옛날의 박완서 소설가의 주거지를 보며, 또한 하산의 그윽한 계곡 정취를 맛보기 위해서 였습니다.
어서 푸른 새싹이 파릇파릇 돋아나는 새봄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온 산하가 푸르고, 산수유, 진달래, 개나리, 벚꽃이 피어나 활력을 불어넣는 봄,봄이 오기를 기다립니다. 봄은 생명의 환희가 용솟음치는 계절일 것입니다.
▶ 산 책: 걸음수 11,741 steps, 거리 5.86 km, 소모열량 380 kcal, 소요시간 01:57 hrs, 속도 2.9-3.8 km/h, 기온: 4℃.
▶ 코 스: 7호선 용마산역 - 용마폭포공원 - 용마산정 - 능선 길 - 전망대 - 용마산 정상 (348m) - 운동쉼터 - 제3헬기장 (용마산4보루) - 제2헬기장 - 용마산5보루 - 깔딱고개 570계단 (상부) - 깔딱고개 쉼터 - 구리 아치울마을.
7호선 용마산역
용마산처럼 등산로가 전철에 가까운 경우는 없다. 용마산역에 내려 3-4분정도면 등산로 시작이다.
서울 중랑구 면목아파트
면목종합사회복지관
용마폭포공원
용마폭포공원 종합안내도
1. 축구장, 2. 체력단련장, 3. 지압보도, 4. 베드민턴장, 5. 게이트볼장, 6. 테니스장, 7. 다목적광장, 8. 클라이밍경기장, 9. 인공폭포, 10. 황톳길, 11. 세족장, 12. 소운동장, 13. 다목적체육시설 / ↑ 주출입구, 화장실, 공원관리사무소, 휴게공간, 어린이놀이터, 주차장
▶ 용마폭포공원 :
면목동 산 1-4번지에 위치하는 용마폭포는 골재 채취장으로 사용하였던 용마산 암절벽을 이용하여 당시 동양 최대의 인공폭포와 공원을 조성하였다. 인공폭포는 총 세갈래의 폭포 줄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의 폭포는 용마폭포, 좌측이 청룡폭포, 우측이 백마폭포이다. 용마폭포는 폭 3~10m, 2단으로 이루어진 51.4m의 높이를 자랑하고 있으며, 청룡폭포는 21m, 백마폭포는 21.4m로 이루어져 있다.
> 인공폭포 가동시간 (5.1 ~ 9.1, 4개월간)
- 평일(3번) : 11:00 ~ 12:00, 13:00 ~ 14:00, 15:00 ~ 16:00
- 휴일(4번) : 11:00 ~ 12:00, 13:00 ~ 14:00, 15:00 ~ 16:00, 17:00 ~ 18:00
> 성수기 (7.13-9.1.):
- 평일(4번) : 11:00 ~ 12:00, 13:00 ~ 14:00, 15:00 ~ 16:00, 17:00 ~ 18:00
- 휴일(야간가동) : 11:00 ~ 12:00, 13:00 ~ 14:00, 15:00 ~ 16:00, 17:00 ~ 18:00, 19:00 ~ 21:00
* 주요행사, 일기상황, 예산확보등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가동기간 탄력적 운영.
- 중랑구 공원녹지과 02-2094-2353
공원관리사무소
어린이놀이터
등산로 입구 계단 길
면목아파트 방향
용마폭포공원 인공폭포 방향
<- 용마폭포공원(중랑둘레길) 330m, -> 중랑둘레길(용마봉) 1km, ↓ 용마산역 360m
중랑둘레길
중랑둘레길은 중랑천과 묵동천, 망우천, 용마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지리적 특성을 살려 중랑자연탐방길을 조성하고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을 연계하는 자연과 관광을 접목한 테마가 있는 둘레길입니다.
면목시장 / 사가정골목시장 / 용마폭포공원 / 사가정공원
용마산의 새로운 이웃, 저는 산양입니다.
산양: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계단길 한동안 이어진다.
중랑구 방향
광진구, 강남 방향
용마폭포공원 상부로 가는 능선 바위길 목재 계단길이 보인다. 가파른 암반 비탈에 만든 계단 길이 묘미가 있다. 주변 경치도 아주 좋다.
용마정 가는 길
능동 어린이대공원, 강남 빌딩 숲, 중랑천, 서울 숲, 남산 방향의 경치가 멋있다.
용마교, 용마정
용마교
중랑천, 서울 중심부 남산 방향
정중앙 멀리 중랑천 하류 빌딩 숲 있는 곳이 서울숲이다.
↑ 중곡역, -> 용마산역
용마산정
서울시 선정 우수조망명소
청계산 / 관악산 / 군자교 / 중랑천 / 남산(목멱산) / 안산/ 인왕산 / 장평교 / 북한산(삼각산)
대원외국어고등학교(대원중.고등학교) / 세종대학교 / 용곡중학교 / 용곡초등학교
바로 아래 중곡동 큰 건물은 국립정신건강센터이다. 그 곁에 중곡역이 있다.
용마산 동심산악회 체육관
팔각정 위 사거리
<- 0.35km 용마산 정상, -> 용마산 (긴고랑) 1.18km, ↓ 용마산 (중곡지구) 0.5km, ↓ 팔각정 0.1km,
용마산 등산로
용마산 정상 아래
온갖 시련에도 견디는 저 소나무....
명품 소나무
용마산 전망대
아차산 능선
용마산 중곡동 긴고랑 계곡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한강 주변 경치
용마폭포공원
아차산 너머 서울 강동구, 송파구, 경기 하남시, 경기 남양주시 방향
멀리 예봉산, 견우봉, 팔당, 검단산, 오른쪽 남한산성 벌봉, 청량산 방향
아차.용마산 등산 안내도
용마산 정상 데크
용마봉 (용마산) 해발 348m
용마봉
높이는 해발 348m이고, 예로부터 중랑천 지역을 한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고구려가 전쟁에 대비해 만든 소규모 요새지인 보루 흔적이 있다. 산에는 아기 장수 전설이 전해지는데, 삼국시대에는 장사가 태어나면 가족을 모두 역적으로 몰아 죽이는 때가 있었다고 한다. 백제와 고구려의 경계였던 이곳에서 장사가 될 재목의 아기가 태어났는데, 걱정하던 부모가 아기를 죽여버렸으며 그 뒤 용마봉에서 용마(龍馬)가 나와 다른 곳으로 날아간 데서 용마산이라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또는 조선 시대 산 아래에 말목장이 많아 용마가 태어나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용마산이라는 이름이 생겨났다고도 한다.
용마산 정상 삼각점
<- 용마폭포공원(중랑둘레길) 1.51km
수락산, 불암산, 중랑구 상봉동 방향
중랑구 상봉동 방향, 중간 봉화산, 멀리 중간 불암산, 수락산, 왼쪽 멀리 도봉산
<- 용마산역 1.98km, 전망대 40m, <- 용마폭포공원 1.53km, -> 중랑둘레길 (깔딱고게 쉼터) 1.25km
용마산 - 망우산 긴 능선
'카테고리 구릅 > 나의 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 덕소 금대산(89.1m)- ( 2025.02.23 ) (0) | 2025.02.24 |
---|---|
② 용마산(348m), 구리 아치울마을- ( 2025.02.17 ) (0) | 2025.02.19 |
② 원도봉산 망월사- ( 2025.02.15 ) (0) | 2025.02.18 |
① 원도봉산 망월사- ( 2025.02.15 ) (0) | 2025.02.18 |
눈 오는 날, 도봉산 옛길- ( 2025.02.12 )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