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구릅/나의 산행487

② 용문산 용문사, 은행나무 - ( 2024.11.09 ) ② 용문산 용문사, 은행나무- ( 2024.11.09 )  《 용문산 용문사, 은행나무  》 사천왕문 cafe & 전통차,  미르  앗, 저 유명한 용문사 은행나무!!!!  은행잎이 많이 떨어지고 빛깔도 조금 엷어진 것 같다.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제30호):동양 최대의 은행나무에 얽힌 이야기는 많다. 신라시대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 927~935 재위)의 세자 마의태자(麻衣太子)가 나라 잃은 설움을 안고 금강산으로 사다가 심었다고도 하고, 신라의 고승 의상대사(義湘大師, 625~702)가 짚고 다니던 지팡이를 꽂았더니 이 지팡이가 뿌리를 내려 성장한 것이라고도 한다. 이 나무는 오랜 세월 전란 속에서도 불타지 않고 살아남은 나무라 하여 천왕목(天王木)이라고도 불렀으며, 조선 세종 때에는.. 2024. 11. 15.
① 용문산 용문사, 은행나무- ( 2024.11.09 ) ① 용문산 용문사, 은행나무- ( 2024.11.09 )  《 용문사 가는 길 》 올 가을에는 용문산 단풍을 깜빡 잊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문득 용문사 은행나무의 노란 모습이 떠올라 용문산관광지로 향했습니다. 나는 집에서 용문산이 가깝고 교통이 좋아 자주 갈 수 있는 가장 높은 산입니다. 우뚝 솟은 용문산 고봉 준령과 주변의 이름난 산봉우리들을 바라보면 마음에 어떤 신선한 바람이 불어오는 것 같습니다. 설악산 소공원에 다달으면 느끼는 그 묘한 감정과도 같은 무엇입니다. 봄이면 싱그럽게 돋아나는 나무들을 바라보게 되고, 여름이면 짙푸른 녹음이 우거진 숲 계곡 길, 그리고 가을엔 설악산에 비견될 만한 아름다운 용문계곡의 단풍, 그리고 눈 내린 설산의 용문산 겨울 풍경은 도저히 잊지 못할 것입니다. 용문산 관.. 2024. 11. 14.
도봉산 옛길 단풍- ( 2024.11.07 ) 도봉산 옛길 단풍- ( 2024.11.07 ) 가을 단풍 보러 도봉산을 갔읍니다. 그런데 단풍 철은 조금 지나버렸습니다.  도봉옛길 코스는 숲이 좋고, 길이 편해서 산책하기 좋은 코스입니다.  도봉옛길 코스는 도봉사 바로 위 에서 부터 무수골 방향으로 이어집니다. 이 코스는 도봉산 자락을 걸으며 마음을 풀어서 힐링하는 명상 코스 같았습니다. 낮은 고개 넘어 내려가면 마중물교회를 지나고 무수골 세월교가  나오는데, 여기에서 성심여대 생활관이 나오는 방향으로 무수골로 올라갔습니다. 나는 아늑한 도봉산 자락의 무수골 마을을 좋아하며 그렇게 마음이 편해졌습니다.  나는 원통암 방향의 계곡길을 따라 자현암까지 갔다가 1호선 도봉역으로 내려갔습니다. 아, 오늘 도봉산 산책은 너무 좋았습니다. 저 빛나는 선인봉 등 .. 2024. 11. 11.
③ 2024 북한산계곡 단풍- ( 2024.11.04 ) ③ 2024 북한산계곡 단풍- ( 2024.11.04 ) 《   산영루 ~ 대서문  》: 산영루....여기에서 중흥사 가는 것은 시간상 포기하고 하산하려 한다. 북한산성선정비군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2.9km 북한산 계곡 단풍이 화려하다. 백운대 정상 근처의 단풍은 거의 저버렸다고 한다. 노적봉 졸졸 맑은 계류... 노적봉 (718m)....가까이서 올려보니 마치 인수봉을 보는 것 같다.앗, 이게 야생 들개인가?  북한산계곡 서암사 위 부분 산비탈에서 들개들의 리더같이 보였던 하얀 진도개 같다. 자극하지 않고 살짝 사진만 찍고 지나간다. 근처  떨어진 곳에 사찰은 있지만  이게 사찰의 개는 아닌 것 같다. 무엇 때문에 이곳에 있는가? 들개일 것이다. 그런데 무리는 어디에 있지? 긴장이 된다.  산에 가면.. 2024. 11. 8.
② 2024 북한산계곡 단풍- ( 2024.11.04 ) ② 2024 북한산계곡 단풍- ( 2024.11.04 ) 《   새마을교 ~ 산영루  》: 새마을교 북한산성 (北漢山城)  지정번호: 사적 제162호 지정일: 1968.12 .5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산 1-1(임) 북한산성은 북한산의 여러 봉우리를 연결하여 돌로 쌓은 산성이다. 길이는 11.6km이며, 내부 면적은 5.3 ㎢에 달한다. 북한산성은 축성 이후 한번도 전쟁을 겪지 않고 현재의 상태로 보존되고 있다. 북한산성를 쌓는 것에 대한 논의는 일찍부터 있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한양 도성의 배후에 산성을 쌓아 국난에 대비하자는 의견이 제기었지만, 당시에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실제 축성은 1711년(숙종37)에 이루어졌다. 논의 과정은 길었지만 성벽을 쌓는 데에는 단 6개월 .. 2024. 11. 6.
① 2024 북한산계곡 단풍- ( 2024.11.04 ) ① 2024 북한산계곡 단풍- ( 2024.11.04 ) 《  북한산성 입구  ~  새마을교  》: 아, 북한산 단풍을 보러 갔습니다. 날씨는 추워진다는데 이 때를 놓치면 안될 것 같았습니다.  원래는 숨은벽계곡길을 오르며 가을 단풍 풍경을 만끽히려고 했지만, 편안한 길을 선택했습니다. 산행은 은평구 진관동 북한산입구에서 부터 시작하였습니다. 북한산 계곡 트레킹을 하려는 것입니다. 평일인데도 사람은 많았습니다. 계곡길을 들어서자 마자 붉은 단풍이 반겨주고 있었습니다. 빛나는 화강암과 맑은 계류가 흐르고 있었습니다. 북한산성 입구에서는 원효봉, 만경대, 노적봉, 그리고 의상봉, 용출봉 등이 아름답게 보였습니다. 저 빛나는 조각품 같은 암봉들!!! 감탄하지 않을 수 었었습니다. 계곡의 암벅. 암반들을 보면 .. 2024. 1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