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여주 신륵사, 강천보, 강천섬 - ( 2017.09.17 )
- 신륵사:
distance: 31.06 km.
riding time: 3:04 hrs.
average speed: 10.0 km/hr.
max speed : 33.1 km/hr.
riding course: ( 여주역- 여주대교- 신륵사- 여주대교- 영월정- 금은모래강변공원- 이호대교- 강천보 (물문화관)- 남한강교- 강천섬 - (원점회귀))
경강선 여주역으로 처음 자전거를 싣고 떠나보았다. 경강선은 개통시에 한번 타보고,그 뒤 곤지암, 초월역 근처 등산시에 다시 한번씩 타보았으나 자전거를 싣고는 처음이다. 자전거로 여주 일원을 돌아보고, 이천으로 가서 온천욕을 하고 돌아올까 생각하고 떠나니 왠지 기대감에 들뜬다.
이제 여주역에서 여주대교를 지나야 한다. 그리고 신륵사에 가려한다.
여주 신륵사는 두번 정도 가보았으나 여주하면 일단 신륵사 부터 구경하고 보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허전하다. 특히 신륵사 하면 남한강가에 강월헌(江月軒) 이란 정자가 있어 경치가 아주 그만이다. 여주에 가면 이 신륵사 강월헌에서 남한강 상류 방향으로 아름다운 경치를 꼭 조망하여 보아야 한다. 그래서 오늘 제일 먼저 신륵사 부터 가게 되었다. 그리고 신륵사에는 유명한 고려의 고승 나옹선사가 머물렀던 사찰이기도 하다. 신륵사는 지금 종각을 대대적으로 보수하고 있었다. 관음전 부터 시게방향으로 적묵당, 극락보전 등을 보고 남한강가 강월헌 방향으로 나가며 다층석탑, 강월헌과 그 곁의 삼층석탑을 돌아보았다. 맑은 초가을 흘러가는 구름과 흐르는 남한강물을 바라보며 너무 아름다운 경치에 도취되었다. 강 위에 떠다니는 황토색깔의 돛단배까지 하나의 그림 속 소재가 되는 것 같았다.
○ 신륵사(神勒寺): 경기도 여주시 봉미산에 위치한 절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로서 신라 시대 때 창건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신륵사는 산이 아니라 남한강이 보이는 강변에 세워져 있다. 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의 말사이다. 신라 진평왕 때 원효가 아홉 마리의 용이 승천한 연못을 메우고 창건했다는 전설이 있다. "신륵(神勒)"이라는 절 이름은 신력과 굴레에서 신륵(神勒)이라는 이름이 나왔다고 전해지고있디. 신륵사는 고려의 고승 나옹이 머물러 절이 크게 확장되었으며, 나옹은 1376년(우왕 2)에 신륵사에서 사망하였다. 절에는 나옹과 나옹의 제자인 무학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기도하다. 조선 시대에는 1440년(세종 22)에 중수하였으며, 1473년(성종 4)에 세종의 능인 영릉을 여주로 이장하면서 영릉의 원찰로 신륵사가 지정되었다. 신륵사에는 다층석탑(보물 225호) · 다층전탑(보물 226호) · 보제존자석종(普濟尊者石鐘: 보물 228호) · 보제존자석종비(普濟尊者石鐘碑: 보물 229호) · 대장각기비(大藏閣記碑: 보물 230호)·보제존자석등(보물 231호) · 조사당(組師堂: 보물 180호) 등의 문화재가 많다.
자전거길 참고사항:
* 경강선 여주역~ 신륵사 : 17분, 9.6 km.
* 신륵사~ 강천보(한강문화관): 24분, 5.76km.
* 강천보(한강문화관) ~ 강천섬: 23분, 5.72km.
* 강천섬~ 여주역: 51분, 12.84km.
여주역~신륵사:
전철안에서...여주 가는 길...멀리 용문산, 그리고 뾰족한 추읍산이 보이고 여주 들판이 풍요로 넘치는 것 같다...
여주역:
여주는 세종대왕릉이 있는 세종의 도시이다..관광안내센터 벽에 훈민정음의 글자로 장식되어 있다.
여주역 전경...
신륵사 가는 길 ( -> 여주대교 ) :
여주역에서 향교로로 나온다. 그리고 우회전하여 개천 왼쪽의 자전거길을 달려나간다.
이 개천의 좌측 자전거길을 따라간다. 저기 음식점 오른에서 아래 이정표를 만난다.
↖ 여주향교 0.3km, <- 여주역(여주대) 0.7km, -> 강천보 5.3km, -> 여주터미널 0.7km...
우측 길로 진행한다.
갸천길에서 여주역 방향을 뒤돌아본다...
여주우체국 근처 '버스터미널4거리'에 있는 세종대왕 동상...
여주대교로 가는 완만한 고갯길...좌측에 자전거도로가 있는데 그걸 모르니우측의 인도로 진행하여 간다...
여주대교:
여주대교 입구이다...남한강자전거길...여경길... <- 터미널, ↗ 여주시청, -> 연인교, ↗ 영월루...
여주대교...여주대교는 1964년 준공되었다. 노후화로 인하여 바로 곁에 신여주대교를 1994-1996 기간중 건설하였으며, 구 여주대교는 인도교로 이용되고 있다.
여주대교를 지나면서 남한강 상류 방향을 바라본다..아름다운 경치이다. 여주썬썬벨리호텔이 보인다...저 호텔 강 건너에 신륵사가 있다. 호텔 지나자마자 금은모래강변공원이 있으며 여주의 자랑거리 유원지이다..
여주대교 북단 왼쪽에 보이는 모텔...남강모텔..
여주대교 북단 삼거리...여기에서 신륵사를 가기 위하여 오른쪽 강변으로 내려간다...-> 여주박물관...
오, 여주대교....강건너 낮은 산 봉우리에는 영월루가 있다....여주는 강변이 아름답고 여유가 있는 도시이다..유해시설이 없다...상수원규제로 개발이 강력히 묶여있는 곳이기도 하다.
남한강 강변 길 (여주대교~신륵사):
강변길로 내려선다...달맞이광장이 보인다...
여주시립도서관..
호젓한 자전거도로...
여주시립박물관...정말 아름다운 건물이다. 유리 외관에 주변의 경치가 반사되어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달맞이광장 자전거길의 종주노선 연결도로 안내...
완쪽의 한옥 음식점들이 있는 신륵사국민관광지로 올라선다.....음식점 건물도 국민관광지 답다...
한우곰탕 8,000, 순대국 7,000, 설렁탕 8,000...오른쪽은 초계국수...
다시 강가 황포돛배선착장으로 나가본다.... <- 황포돛배선착장, -> 여주박물관..
황포돛배선착장...
떠나는 황포돛배...
선착장에 올라가 남한강 바라본 남한강 하류 방향 경치....하류 방향...여주썬벨리호텔...그 아래에 금은모래강변유원지가 있다..
강 건너 영월루 방향...
황포돛배선착장...
황포돛배선착장의 나의 청마 자전거...저기 공원 오른쪽으로 신륵사를 향한다...
여유 있는 강변 풍경...
공원에 올라서서 나무 가지 사이로 강변을 바라본다..
황포돛배....황포돛배수시운항...문의 010-5342-2139...
이 길로 직진해 간다...
신륵사 경내 근처...조포나루터...
조포나루터....위령비도 같이 있었다...
남한강을 끼고 있는 여주는 예로부터 중부내륙과 한양을 이어주는 수상 교통의 중심지였다. 예부터 이곳에는 한때 12개의 나루가 번성하기도 했다. 서울 광나루, 마포나루와 더불어 여주의 조포나루, 이포나루는 조선의 4대 나루로 인정받을 만큼 중요했다. 고려시대에 새나루(단현동),조포나루(천송동), 여주나루(홍문동), 이호나루(강천면 이호리), 조선시대에 우만나루(우만동), 양화나루(능서면 내양리), 창남나루(점동면 대오마을), 흔암나루(점동면 흔암리), 천남나루(대신면 천남리), 찬우물나루(흥천면 상백리)가 들어섰다.
또한 남한강은 나루로 인한 대형인명사고도 적지 않았다. 1963.10.27일 안양시 흥안초등학교 학생과 교사 등 49명의 생명을 앗아간 조포나루 나룻배 침몰 사고가 대표적이다. 당시 신륵사로 소풍 온 학생들이 나루에서 배를 타고 반대편 선착장으로 가다 배가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침몰하였는데 이는 70명 정원에 137명을 태운 것이 원인이었다. 배가 무게를 이기지 못하여 사고가 났다. 이 때의 참사 희생자의 위령비가 여기에 세워져 있는 것이다. 지금은 다리 건설등으로 이러한 나룻터가 점점 사라져 갔다.
-> 법당 가는 길, <- 템플스테이, <- 매점, -> 강월헌...
멋진 누각이?
신륵사:
언뜻 가을이 느껴진다...
신륵사 불이문.....
신륵사는 공사중...범종각 해체보수 불사...
신륵사 법당 방향으로 들어가 본다..
세심정 (洗心亭)...여기에서 흐르는 물 한 모금을 마신다..
관음전...
조사당..
극락보전...
명부전..
보호수...향나무, 수령 500년...
다층석탑...
심검당..
적묵당...신륵사사무실...
극락보전...
멋진 향나무..
구룡루.....봉미산 신륵사...
김병기 공덕비...
보호수...은행나무 수령 600년...
구룡루..
다층석탑..
강월헌:
삼층석탑, 그리고 강월헌..신륵사 최고의 경치이다..
특이한 다층석탑을 오려본다..
신륵사 최고의 탑...삼층석탑....나는 이 탑이 그렇게 멋잇게 보일 수가 없다..그리고 여기에서의 경치에 너무 매료된다..
○ 여주 신륵사 삼층석탑:
여주 신륵사 삼층석탑은 화강암을 깎아만든 삼층탑으로, 신륵사 다층석탑 근처 강변의 암반에 세워져 있다. 불교에서 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무덤 양식에서 기원한 것이다. 탑을 지탱하고 있는 아랫부분인 기단부는 넓적한 한장의 돌로 만들어져 있고, 그 위에 사각형의 상대중석과 갑석을 올려 놓았다. 상대중석의 각 면에는 기둥 모양의 우주_隅柱와 탱주를 새겼고, 그 위를 덮고 있는 갑석에는 연꽃무늬가 아래로 향하게 새겨져 있다. 기단부 위의 탑신부는 3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층과 2층의 탑신에 해당하는 돌의 네모퉁이에는 기둥모양의 우주가 조각되어 있으나 심하게 닳은 편이다. 그 위에 건물의 지붕에 해당하는 옥개석이 올려져 있는데, 기울기가 비교적 원만한 편이고 그 아랫부분에 새겨진 받침은 3단이나 4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3층 탑신석은 없어진 상태이다. 탑의 맨 꼭대기를 장식하는 구조물인 상륜부도 모두 없어졌다. 고려말 나옹 화상을 화장한 장소에 이 탑을 세웠다는 기록이 남아있어 그 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탑 은 조각이 부드럽고 탑신부의 짜임새가 간결하여 고려 후기 탑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 우주(隅柱): 건물의 모퉁이에 세운 기둥.
* 탱주: 버팀 기둥.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 靑山兮要我以無語 - 청산혜요아이무어 )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 蒼空兮要我以無垢 - 창공혜요아이무구)
사랑도 벗어놓고 미움도 벗어놓고 ( 聊無愛而無憎兮 - 료무애이무증혜)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 如水如風而終我 _ 여수여풍이종아 ) - < 나옹선사 >
▒ 나옹선사(懶翁禪師) (1262-1342): 고려 말기의 고승/ 공민왕의 왕사/ 본명은 원혜(元慧), 휘는 혜근(慧勤), 호는 나옹(懶翁)/ 경북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에서 출생/ 20세 때 친구의 죽음을 보고, 출가해 공덕산 묘적암(妙寂庵)의 요연(了然)선사에게서 득도/ 1348년(충목왕 4) 원나라에 가서 연경(燕京)의 고려사찰인 법원사(法源寺)에서 인도 승려 지공(指空)의 가르침을 받음/ 조선 태조 왕사로서 한양천도의 주요 인물인 무학대사가 그의 제자였다. 나옹, 지공, 무학, 세분의 부도와 비석이 회암사터의 뒤쪽에 현존/ 그가 입적한 남한강변 여주 신륵사에서 입적 사리를 봉안한 부도와 비문이 남아 있다.
여주 강천면 방향...남한강은 말없이 흘러 오고 있다...
신륵사 뒷산 봉미산 자락...
강월헌엔 풍류객(?) 들이 많다...
강건너 황포돛배선착장...그 뒤로 금은모래유원지...
신륵사에서 바라보는 여주썬밸리호텔...황포돛배선착장...
신륵사 경내를 나선다...운동하는 스님들..
참으로 멋진 누각...
불이문...
신륵사 템플스테이...365일 상시운영...문의 031-885-9024.
일주문을 나서다...
매표소...개인 > 어른 2,200, 청소년,군경 1,700, 어린이 1,000/ 단체> 어른 1,800 청소년,군경 1,500, 어린이 800
신륵사 일주문....굳바이 신륵사...
신륵사국민관광지:
여강길...5일 장터길...
원효장군 전승비,..
2017 여주 오곡나루 축제.....10.27 금- 10.29 일.... 신륵사 관광지...
<- 황포돛배선착장...
식당가, 주차장 방향으로 나간다..
대성도자기...여기는 각종 도자기 판매점이 있다...
신륵사국민관광지 주차장...
다시 여주시립박물관...외부 창에 비친 하얀 구름...
다시 남한강가로 ...그리고 다시 여주대교로...영월루로...
'카테고리 구릅 > my cycle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③ 여주 신륵사, 강천보, 강천섬 - ( 2017.09.17 ) (0) | 2017.09.18 |
---|---|
② 여주 신륵사, 강천보, 강천섬 - ( 2017.09.17 ) (0) | 2017.09.18 |
② (춘천역~소양댐,소양호~공지천풍물시장 (효자집)~ 남춘천역 - ( 2017.08.27 ) (0) | 2017.08.29 |
① (춘천역~소양댐,소양호~공지천풍물시장~남춘천역) - ( 2017.08.27 ) (0) | 2017.08.27 |
(뚝섬유원지~ 군자교~건국대 일감호) - ( 2017.08.24 ) (0) | 2017.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