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307 도봉산 옛길 단풍- ( 2024.11.07 ) 도봉산 옛길 단풍- ( 2024.11.07 ) 가을 단풍 보러 도봉산을 갔읍니다. 그런데 단풍 철은 조금 지나버렸습니다. 도봉옛길 코스는 숲이 좋고, 길이 편해서 산책하기 좋은 코스입니다. 도봉옛길 코스는 도봉사 바로 위 에서 부터 무수골 방향으로 이어집니다. 이 코스는 도봉산 자락을 걸으며 마음을 풀어서 힐링하는 명상 코스 같았습니다. 낮은 고개 넘어 내려가면 마중물교회를 지나고 무수골 세월교가 나오는데, 여기에서 성심여대 생활관이 나오는 방향으로 무수골로 올라갔습니다. 나는 아늑한 도봉산 자락의 무수골 마을을 좋아하며 그렇게 마음이 편해졌습니다. 나는 원통암 방향의 계곡길을 따라 자현암까지 갔다가 1호선 도봉역으로 내려갔습니다. 아, 오늘 도봉산 산책은 너무 좋았습니다. 저 빛나는 선인봉 등 .. 2024. 11. 11. ② 운길산 수종사- ( 2024.11.06 ) ② 운길산 수종사- ( 2024.11.06 ) 《 하산 길 》 왼쪽: 마을로 내려가는 길, 오른쪽: 바로 내려서는 길이 무너지고 험한데, 계곡 길이다. 오늘은 직진해서 하산해 보려 한다. 이 길은 평소 사용하지 않는 길이다. 비탈 직전에 쉼터 정자가 나온다. 그렇지만 전망은 없다. 비탈을 다 내려왔는데, 내려서는 길이 묘연하다. 난감하기도 하다. 평소 계곡길을 오르다 보면 나무 계단이 보이는데 내가 잘 못 왼쪽으로 내려온 곳 같다. 산길은 이래서 어려운 것이며 깊은 산에서는 처음 들어갈 때와 달리 중간에 길이 희미해져 조난당하는 경우가 많다. 나는 무조건 선택의 여지가 없을 것 같아 비닐하우스 있는 부분으로 조심스럽게 내려섰다. 내려선 계곡길마루 장어구이 031) 576-9978초록향기 농.. 2024. 11. 10. ① 운길산 수종사- ( 2024.11.06 ) ① 운길산 수종사- ( 2024.11.06 ) - 《 수종사 》 운길산 수종사를 다녀왔습니다. 운길산 수종사는 운길산 8부 능선 절상봉 아래 있는 절로서, 예부터 시인묵객들이 동양의 제일 가람이라고 격찬하던 곳입니다. 그만큼 수종사에서의 조망은 탁월합니다. 북한강과 남한강, 두강이 만나는 두물머리, 팔당호수의 경치는 너무 아름답습니다. 오늘따라 수종사 가는 차량들이 많았습니다. 그러고 보니 수능일자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불교 신자들은 불안한 마음을 달래고 자식.손자들의 대학입학을 염원하는 마음으로 수종사를 많이 찾는 것 아닌가 추측해보기도 했습니다. 운길산역에서 수종사까지 왕복하면 소요시간 2시간 이내 멀지 않은 거리이므로 나는 가끔 수종사를 찾곤 한답니다. ▶ 산 책: 걸음수 11,408 .. 2024. 11. 9. 중랑천,청계천변- ( 2024.11.05 ) 중랑천,청계천변- ( 2024.11.05 ) 오늘은 필립스 가전제품 as로 서울 광진구 화양로에 갔다가 중랑천변과 청계천변을 걸어보았습니다. 옛날 이 곳은 자전거 타고 자주 왕래했던 곳이어서 오늘 따라 감회가 깊었습니다. 청춘은 미래에 살고, 노인은 과거에 산다는 말이 생각났습니다. 지난날을 회고해 보면서 주마등 처럼 여러가지 생각이 머리를 스쳐 지나갔습니다. 내 인생에서 가장 힘들었던 시기에 마음을 달래려고 중랑천변을 자전거 타고 자주 달렸었습니다. 가로수가 양편에 우거진 중랑변은 걷기 좋습니다. 오후 시간 동부간선도로에는 수많은 차들이 빠른 속도로 달리고 있었습니다. 지친 몸을 이끌고 바쁘게 살아가는 사람들일 것입니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동부간선도로의 바쁜 자동차들 모습은 한결 같았습니다. 휘어져.. 2024. 11. 8. ③ 2024 북한산계곡 단풍- ( 2024.11.04 ) ③ 2024 북한산계곡 단풍- ( 2024.11.04 ) 《 산영루 ~ 대서문 》: 산영루....여기에서 중흥사 가는 것은 시간상 포기하고 하산하려 한다. 북한산성선정비군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2.9km 북한산 계곡 단풍이 화려하다. 백운대 정상 근처의 단풍은 거의 저버렸다고 한다. 노적봉 졸졸 맑은 계류... 노적봉 (718m)....가까이서 올려보니 마치 인수봉을 보는 것 같다.앗, 이게 야생 들개인가? 북한산계곡 서암사 위 부분 산비탈에서 들개들의 리더같이 보였던 하얀 진도개 같다. 자극하지 않고 살짝 사진만 찍고 지나간다. 근처 떨어진 곳에 사찰은 있지만 이게 사찰의 개는 아닌 것 같다. 무엇 때문에 이곳에 있는가? 들개일 것이다. 그런데 무리는 어디에 있지? 긴장이 된다. 산에 가면.. 2024. 11. 8. ② 2024 북한산계곡 단풍- ( 2024.11.04 ) ② 2024 북한산계곡 단풍- ( 2024.11.04 ) 《 새마을교 ~ 산영루 》: 새마을교 북한산성 (北漢山城) 지정번호: 사적 제162호 지정일: 1968.12 .5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산 1-1(임) 북한산성은 북한산의 여러 봉우리를 연결하여 돌로 쌓은 산성이다. 길이는 11.6km이며, 내부 면적은 5.3 ㎢에 달한다. 북한산성은 축성 이후 한번도 전쟁을 겪지 않고 현재의 상태로 보존되고 있다. 북한산성를 쌓는 것에 대한 논의는 일찍부터 있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한양 도성의 배후에 산성을 쌓아 국난에 대비하자는 의견이 제기었지만, 당시에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실제 축성은 1711년(숙종37)에 이루어졌다. 논의 과정은 길었지만 성벽을 쌓는 데에는 단 6개월 .. 2024. 11. 6.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385 다음